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日 자동차 생산 부진, 이머징이 '해답'

[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일본 자동차 업계의 생산 감소폭이 둔화된 가운데 주요 업체의 이머징마켓 공략이 관심을 끌고 있다. 소형차를 앞세워 중국과 인도 등 고성장하는 시장을 공략하고 나선 것.


30일 업계에 따르면 수출 부진으로 일본 자동차 업계의 8월 생산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6% 감소한 57만1787대를 기록했다. 생산 감소폭은 7월 32%에서 다소 축소됐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정부가 실시한 중고차 보상제(cash-for-crunkers)의 영향으로 생산 감소가 진정됐다고 설명했다. 업체별로 도요타의 생산량이 전년대비 24% 줄었고, 혼다와 닛산은 각각 37%, 12% 감소했다.

통신은 중고차 보상제를 제외하면 해외시장의 수요 회복이 뚜렷하지 않은 것이 생산량 감소의 주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또 달러 대비 엔화가 8개월 연속 강세를 보이면서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북미시장에서 실적도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컨설팅 업체인 CSM 월드와이드의 애널리스트 니시모토 마사토시는 "미국의 소비가 향상되지 않고, 일본 국내 수요가 회복되지 않고 있다"고 풀이했다.


그러나 북미와 아시아 시장에서 도요타의 생산이 늘어나면서 회복의 신호를 보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도요타의 8월 중국법인 생산이 43%늘어난 6만7000여대로 집계됐다. 로이터는 도요타의 북미지역 생산이 12% 늘어나면서 13개월 만에 처음으로 생산이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보도했다. 또 혼다는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시장에서 생산이 4.2% 늘어났다.


중국 등 신흥시장의 자동차 판매 회복세가 완연하면서 일본의 자동차 생산업체는 중국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태세다. 도요타는 중국 정부가 올 1월부터 세제혜택을 부여하고 있는 소형차(1600cc미만) 시장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도요타는 중국 시장에서 8월 판매가 크게 뛰었지만 1~8월을 종합하면 41만5000대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에 그친다. 중국 정부의 4조 위안에 이르는 경기부양책과 세제혜택의 효과로 다른 외국계 자동차 기업들이 중국시장에서 큰 판매성장을 보인 것에 비해 저조한 실적이다. 도요타는 소형차 대신 대형세단 판매에 집중하면서 중국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도요타의 중국법인 대변인 니우 유는 "중국 시장의 공략을 위해 1600cc미만의 소형차 판매에 주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 "8월 500개 수준인 판매망을 연말까지 590개로 확충할 것"이며 "렉서스 판매망도 60개로 늘리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윤재 기자 gal-ru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