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바닷 속 깊은 물에 관심 갖는 이유는?

해양심층수 관련 업계들 경쟁 가속화… 정부 지원 필요하다는 지적도

해양심층수 관련 제품들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해양심층수 취수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 대기업은 물론 중국, 호주 등 수출량을 늘리고 있는 워터비스를 비롯해 최근 신제품을 출시한 파나블루까지 규모는 작지만 특화된 기술을 선보이고 있는 것.


국내서 최초로 먹는 해양심층수를 출시한 워터비스는 심층수에서 선택적으로 미네랄을 추출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해 물맛과 기능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파나블루 역시 세계 최저 수준의 취수기술을 자랑한다. 올초 SK가스에 인수된 후 울릉도 인근 수심 1500m의 바닷물을 취수할 수 있는 시설을 갖췄다.



◆ 해양심층수는 어떤 물? = 해양심층수란 햇빛이 닿지 않는 수심 200m 이하에만 존재하는 고유수를 의미한다. 지구를 순환하는 바닷물은 북극의 차가운 빙하해역과 만나면서 차가워지고 미네랄이 섞임에 따라 비중이 커져 바닷 밑으로 가라앉는다. 이렇게 가라 앉은 바닷물은 온도나 염분, 각종 유용물질 함유량이 표층수와 다르다.

추용식 워터비스 대표는 "해양심층수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 인체에 필요한 50여가지 미네랄이 인간의 체액과 거의 유사한 구성으로 녹아 있다"며 "인간 세포대사의 균형을 잡아주기도 하며 콜레스테롤 감소, 아토피 치료 등의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다양한 효능을 자랑하는 해양심층수지만 누구나 이 자원을 개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추 대표는 덧붙였다. 우선 최저 200m 이하 수심의 바다를 끼고 있어야 한다. 거기에 더해 적합한 해류도 형성돼 있어야 한다. 실제 세계적으로 해양심층수를 개발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 일본, 노르웨이, 대만, 우리나라 정도다.


◆ 뒤늦게 뛰어든 우리나라… 기술력 줄이기 위한 업체 노력 치열 = 가장 먼저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에서는 지금과 같은 먹는 용도를 위한 개발이 아니었다. 미국은 1970년대부터 바닷 속 깊은 곳에서 물을 끌어올려 낮은 온도인 점을 이용, 온도차를 이용한 발전 및 수산양식을 중심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 지금과 같이 각종 미네랄 등 유용물질을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마시는 물이나 의약부분에 사용한 것은 그 이후의 일.


1980년 설립된 하와이 주립 자연에너지연구소(NELHA)를 중심으로 관련 연구 수행 및 실용화를 주도했다. 이후 시범산업단지인 HOST Park(Hawaii Ocean Science and Technology)를 운영하기도 했다. 지금도 냉방, 농업 및 수산분야에 이용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30개가 넘는 벤처기업들이 연간 4000만 달러 이상의 경제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역시 70년대부터 정부를 중심으로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1986년에는 '아쿠아마린계획'에 따라 과학기술청과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개발연구를 수행중이다.


일본의 특징은 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한 산업적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을 통해 고용과 부가가치 증진 효과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주체가 돼 개발을 이끌고 있으며 일부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는 형식이다.



이밖에 대만은 2005년부터 화이렌 지역을 시작으로 중앙과 지방 정부, 민간이 공영으로 개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노르웨이 역시 1989년 국립해양연구소에서 수산물 양식에 이용하기 위한 연구에 착수했다.


이에 비하면 국내 연구는 지난 2002년에 관련 업체들이 생기기 시작해 2007년에 이르러서야 관련 법률이 제정될 정도로 한발 늦었다는 평이다. 이마저도 파나블루 등 일부 업체 위주로 연구개발이 주도되고 있어 보다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해양심층수 관련 산업은 2012년까지 생산유발효과만 1조738억원, 취업유발효과만 1만7558명에 달한다.


추용식 워터비스 대표는 "해양심층수를 개발할 수 있는 바다를 끼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우리나라는 축복"이라며 "민간 차원에서 개발하는 게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