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盧 전대통령 서거]林총장 사퇴 카드 통할까?

이명박 정부가 검찰 총수 사퇴 카드를 만지작 거리다 사흘 만에 꺼내들었다.

명목상으로는 사표 반려였지만 잠재적 사퇴를 예고했기 때문에 민심을 잠재우기 위한 국면전환용 1차카드라는 분석이다.

전국적으로 몰려드는 추모 인파와 불 붙은 민심에 화들짝 놀란 정부가 이번 카드로 사태를 수습할 수 있을 것인지 주목된다.

◆林총장 사표 사흘만에 반려돼 = 26일 법무부와 검찰에 따르면 임채진 검찰총장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일인 지난 23일 오전 대검 청사에 출근한 뒤 바로 사표를 작성해 법무부에 제출했다.

임 총장은 노 전 대통령이 갑작스럽게 서거했다는 소식을 접한 뒤 인간적인 고뇌를 느껴 사표를 작성해 법무부에 전달했으나, 김경한 법무장관은 "사태 수습이 우선"이라며 25일 오후 반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 총장이 사표를 제출하고 사흘이 지나서야 반려됐다는 점에서 청와대가 이번 정국을 관망하다 1차로 검찰총장 사퇴 카드를 꺼내들었다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명목상으로는 사표가 반려됐지만 '박연차 리스트' 수사가 마무리되는 6월 중순께 임 총장에 대한 사표가 수리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기 때문에, 사실상 민심을 잠재우기 위한 잠재적 총장 사퇴 카드를 내놓은 것이라는 해석이다.

대검과 법무부는 이례적으로 이 같은 내용을 동시에 보도자료를 통해 발표했다. 검찰은 임 총장이 자진 사퇴하려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사태에 책임지는 듯한 모습을 보였고, 정부도 '일단 보류'라는 전제를 걸어 놓아 경질에 여운을 남겨뒀다.

이에 따라 임 총장 사퇴에 반대하는 검찰 내부의 강경파와 보수진영의 반발을 누그러 뜨리면서도 여론을 수렴하는 듯한 모습을 보임으로써 성공적인 '총장 사표 반려' 시나리오가 그려졌다.

◆불 붙은 민심 가라앉을까 = 노 전 대통령의 서거로 불 붙은 민심이 임 총장이 자진 사퇴한다고 해서 수그러들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미 여론에서는 검찰 수사에 대한 '특검론'이 제기되고 있으며, 정부가 노 전 대통령의 장의(葬儀)를 국민장으로 치르기로 하면서도 서울광장과 청계광장의 민간 분향소 설치를 막아 시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경찰은 지난 23일부터 이 지역에 경찰버스를 줄지어 배치해 인공장벽을 구축해 놓은 상태다. 경찰은 시민들의 추모 행사가 불법 시위로 변질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원천적으로 서울광장 등을 봉쇄했다.

이에 더해 주상용 서울경찰청장은 "경찰 버스가 분향소 주변을 막아주니 아늑하다고 말하는 분도 있다"고 말하는 등 정부는 분노하고 있는 민심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현 정부가 노 전 대통령 서거에 아파하고 있는 민심을 보듬지 않고 억제하려고만 한다면 지난해 6월 쇠고기 파동으로 촉발된 '촛불정국'이 올해 6월에도 재개될 수 있다는 전망이 속속 제기되고 있다.

한국진보연대와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로 구성된 '민생민주국민회의'는 "경찰이 분향소 주변을 압박하는 것은 명백한 추모 방해이며, 노 전 대통령에 대한 극단적인 결례"라고 주장했다.

김진우 기자 bongo79@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