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분양 떨이업체'가 떴다

미분양 아파트 여러 채 25~30% 싸게 산뒤 되팔아
시장질서 교란 지적에 떨이업체·시행사는 '모르쇠'


아파트 분양시장이 침체된 틈을 타 ‘미분양 떨이’업체들이 다시 나타나 부동산시장 질서를 어지럽히고 있다.

이들 떨이 업체들은 잘 팔릴 만한 미분양아파트 여러 채를 통째로 분양가보다 25~30% 싸게 산 뒤 일정한 이윤을 붙여 소비자에게 되파는 곳들이다.

29일 지역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지방분양시장의 오랜 침체와 더불어 미분양아파트들이 늘자 일부 부동산 업체들이 로열층을 중심으로 한 알짜배기 미분양아파트를 사들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환위기 때 잠시 활개를 쳤다 없어진 ‘아파트 미분양 떨이업체’들이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한 것.

이들 떨이업체들은 미분양으로 애를 먹고 있는 시행사나 건설사 등을 꼬여 아파트 여러 가구를 싸게 사들인 뒤 소비자나 부동산중개업자들에게 다시 팔거나 여의치 않으면 전세를 놔 큰 차액을 챙긴다. 때론 미분양물량을 살 투자자를 모아 움직이기도 한다.

최근 대전에서 4개월 째 미분양 아파트 수가 줄어드는 등 지방 곳곳에서 미분양 아파트 수가 조금씩 줄어든 곳이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업계에선 이를 두고 양도소득세 감면 등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정책의 영향도 있지만 일부는 떨이업체들의 활동 탓이란 분석도 나온다.

문제는 미분양을 양산한 시행사나 건설사들의 입장에서 유동성 확보, 미분양 물량 줄이기, 회사 이미지 손상 막기 등을 위해 ‘떨이 판매’의 유혹을 넘기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기존계약자와의 형평성 문제가 불거지는 것은 물론 시장의 자유질서가 교란되는 등 부작용이 커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른바 ‘떼기’식의 아파트 할인판매가 법정소송으로 비화될 것을 우려한 건설사와 떨이업체들은 이를 서로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대전의 한 공인중개업계 관계자는 “대전의 몇몇 공동주택 사업지에선 최근 떨이업체들을 통해 미분양 아파트가 팔린 것으로 안다”며 “하지만 이들의 특성상 잘 알려지지 않아 개별 수요자가 접촉하기는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