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디지털로 '혀'를 진단한다

한의학硏, 혀 디지털영상 으로 병증 진단 '설(舌)진기' 개발

몸이 아파 병원에 가면 의사들은 가끔 혀를 보자고 한다. 혀의 색깔과 윤기, 혀에 끼는 설태 등을 살펴 몸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다. 이런 진단법을 ‘설진’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젠 설진을 위해 의사에게 혀를 보이는 게 아니라 기계에 혀를 내밀어야 할지도 모른다.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김종열 박사팀은 혀 색깔과 설태 등의 분포를 인식, 객관적으로 환자의 병증을 판별할 수 있는 디지털설진기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디지털설진기는 디지털카메라가 달린 인식장치가 혀의 상태를 찍은 뒤 이 영상을 부위별로 나눠 설태와 설질(설태가 끼지 않은 부위)의 색깔이나 표면 등의 특징을 찾아 병증을 판독한다.

혀 상태에 대한 의사의 주관이 개입되지 않아 건강상태나 질환을 표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연구진은 이 설진기의 판정정확도를 80%쯤으로 보고 있으며 소화기나 폐 관련 질환 진단 효과를 두고 임상시험을 벌이고 있다.

원래 설진기는 대만에서 첫 개발됐지만 화질이 안 좋아 진단에 제한이 있었다.

김 박사는 “이 디지털설진기는 혀 상태를 통해 누구나 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게 장점”이라며 “앞으로 정확도를 더 높이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쓸 수 있는 U-헬스 기반의 진단기기 등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의학연구원은 디지털설진기 외에도 지능형맥진기, 피부진단기, 안면진단기, 음성진단기 등을 개발하고 있다.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