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환율과의 이별, 채권시장 강세

본드 플래트닝 해소 중, 전형적 강세장 본드강세·IRS 정체 연출

채권시장이 그간 억눌린 환율압박을 딛고 강세를 연출했다.

장초반 외국인들의 국채선물 매도로 약세로 출발한 채권시장은 그간 진행되던 커브플래트닝에 대한 반발매수로 잔존 2-3년 국고채로의 매수세가 유입됐다. 또 전형적인 채권강세장인 본드강세 IRS 정체를 기록했다.

국고채 3년년물 8-6이나 8-3은 장중 선물에 비해 0.03%포인트~0.05%포인트 이상 강세를 보이자 저평을 감안한 국채선물로의 순환매기가 유발됐고, 장 막판 원·달러 환율 급등에 따른 경계매물이 출회됐디만 곧 매물이 정리되면서 국채선물과 2-3년 국고채로의 매수세가 이어졌다.

27일 채권시장에서 국고채 3년물 8-6은 전장 대비 0.06%포인트 하락한 3.82%로 마감됐고 6개월 짧은 8-3은 전일비 0.11%포인트 하락한 3.59%로 거래를 마쳤다. 반면 국고채 5년물 8-5는 보합수준인 4.358%에 마감돼 3-5년간 스프레드가 전일에 이어 0.06%포인트 줄었다.

다만 3-5년간 스프레드가 장중 0.10%포인트에서 0.04%~0.05%포인트로 줄어들면서 스티프닝이 줄어드는 양상이어서 스티프닝 현상이 지속될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본드스왑이 상대적으로 줄며 정상상황을 찾아가는 모습이다. 다만 2-5년 국고채의 경우 1.21%포인트차를 기록하고 있어 여전히 미국의 0.91%포인트차 보다 여전히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1-5년 또한 1.90%포인트 차를 유지해 미국의 1.27%포인트차 보다는 벌어져 있다.

한편 IRS는 채권시장 강세속에 정체를 보였다. IRS 1-5년은 0.74%포인트, 2-5년은 0.47%포인트를 기록했다.

외국계 은행의 한 스왑딜러는 “국채커브가 스티프닝되면서 3-10년간 메리트가 사라지고 있다”며 “하지만 5년 밑으로는 여전히 룸이 있어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크레딧물로는 은행채 위주로 저가 매수세 살아나는 가운데 3년이상 장기물공사채로도 저가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면서 마감했다.

채권시장의 한 관계자는 “커브가 눌리면서 최근 커브배팅에 주력하던 주체들의 이익실현매물이 출회되면서 비교적 강세를 연출한 하루였다”고 말했다.

김남현 기자 nh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