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회 본회의 취소, 주말 막판 타협 가능성은

2월 임시국회가 직권상정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여야 대치상황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27일 대부분의 상임위가 파행을 이어가면서 상임위 곳곳에서 국지적인 충돌이 빚어지고 있다.

직권상정을 고심중인 김형오 의장은 전격적으로 27일 본회의를 최소했다.

내달 2일 본회의 일정이 남아있는데다, 여야 갈등이 최고조로 도달한 시점에서 본회의를 여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의미로 읽힌다.

또한 직권상정이 이미 도마에 오른 지금 본회의장을 열었다간 민주당 등 야당이 강제점거에 나서는 상황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김형오 의장이 본회의를 최소함에 따라 내달 2일 본회의에서 쟁점법안 처리가 모두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이날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 필요에 따라서 악역을 해야 될 순간이 오면 악역을 해야 한다" 며 김의장을 대상으로 모든 계류법안의 직권상정을 압박했다.

하지만 직권상정 결사저지에 나선 민주당의 태도도 강경하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직권상정이 마치 무슨 국회운영의 한 축인 것처럼 국민을 호도하면 안 된다" 고 강조했다.

당 소속 유선호 법사위원장도 "외형상으로 법사위 폐지와 같다, 직권상정을 강행한다면 향후 법사위에서 법안심사는 없을 것이다" 고 선을 그었다.

따라서 주말을 이용한 여야 지도부의 막판 타협 여부가 주목받고 있지만, 물리적 시간이 촉박한데다 극심한 대립상태여서 대화를 통한 막판 타협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이대로 가다간 정치권 전체가 파멸로 간다는 공감대가 대두될 경우 극적 타협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쟁점법안의 숙성론을 주장하던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6.25전시 납북자 진상규명을 위한 법률안' 공청회에서 "쟁점법안 처리와 관련해 이미 입장을 다 밝혔다"고 짧게 말했다.

이미 지난 1월 당의 속도전에 급제동을 건적이 있어 부담스럽지만, 국민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소신엔 변함이 없다는 주장이다.

양혁진 기자 yhj@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