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무한돌봄‘범도민 확산’

경기도-17개 민간병원-수원지방변호사회-경기도약사회 ‘무한돌봄 MOU’

경기도의 역점사업인 ‘무한돌봄사업’에 민간이 대거 참여하는 등 범도민 캠페인으로 확산되고 있다.

무한돌봄사업은 지난해 11월부터 전국 최초로 시행하고 있다.

경기도는 19일 경기도중소기업센터에서 자원봉사자, 부녀회원, 통리장 등 1만5천명을 ‘무한돌보미’로 위촉해 ‘위기가정 발굴망’을 더욱 촘촘하게 하는 ‘무한돌보미 발대식’을 개최했다.

이날 발대식에는 ‘무한돌보미’로 위촉된 각 시군 지역복지협의체 위원, 노인·장애인·사회복지관장, 자원봉사자, 통리장 등 1만5천여명 중 600여명이 대표로 참석했다.

이들은 무한돌봄 미션인 ‘생계비가 없어 굶는 사람이 없도록’, ‘돈 없어 병원에 못하거나 치료시기를 놓치는 일이 없도록’, ‘돈 없어 학업을 중단하는 일이 없도록’ 함께 위기를 극복하는 데 적극 동참키로 했다.

특히 도는 이날 도내 민간 의료기관인 경기도병원회, 수원지방변호사회, 경기도약사회 등과 ‘무한돌봄 MOU’를 맺었다.

이에 따라 이 협약에 참여한 의료기관은 무한돌봄 의료지원대상자에‘본인부담금의 비급여 진료비’ 20%를 감면해준다.

또 421명의 변호사가 회원으로 활동하는 수원지방변호사회는 무한돌봄대상자에게 필요시 무료 법률서비스를 지원한다.

경기도내 4200개로 구성된 경기도약사회는 대상 가구에 대해 건강상담, 사랑의 키트(구급약) 전달 등 약사분야를 지원키로 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이날 “기존 제도로 돕지 못했던 계층과 계속 늘고 있는 위기가정을 경기도와 민간이 함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가 시행중인 무한돌봄사업은 경제상황 악화로 위기에 처한 가정과 함께 학대, 유기, 이혼, 자살 등이 증가하면서 위기상황으로 가정해체로 이어지지 않도록 위기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생계비, 의료비, 교육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1793가구에 16억원을 지원한데 이어 올해도 도와 시·군비 315억원을 예산 편성하여 2517가구에 그동안 16억원을 지원했다.

경기도는 이 사업을 위해 지난해 ‘경기도 저소득주민의 생활안정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고, 지난 1월에는 경기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 경기복지미래재단과 MOU를 체결 공공부문에서 지원하기 어려운 경우도 지원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무한돌봄사업 참여의료기관은 ▲카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카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카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동국대학교 일산불교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아주대학교의료원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원광대학교 산본병원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경기도립의료원 등 14곳이다.

김정수 기자 kjs@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