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취약계층 정보화 수준 68%에 달해

행정안전부는 취약계층 1만5천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12월 실시한 '2008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 결과, 취약계층의 정보화수준은 68.0%로 처음 실태조사를 한 2004년 45.0%에 비해 23.0%포인트 향상됐다고 11일 밝혔다.

취약계층의 정보격차 지수는 2004년 23.0점에서 2008년 55.0점으로 23.0점이 개선됐고, 인터넷 이용률은 24.9%에서 41.7%로 16.8%포인트, 가구당 PC 보유율은 48.7%에서 65.1%로 16.4%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취약계층 약 1610만 명의 41.6%에 해당하는 약 670만명이 일반국민의 정보화수준 80%에 도달했고, 2004년 이후 5년간 약 331만명은 정보격차가 해소된 것으로 분석됐다.

평균 인터넷 이용률은 41.7%(전년대비 1.6%포인트 상승)로 저소득층 54.6%, 장애인 51.8%, 장노년 35.6%, 농어민 35.2%로 연령이 많은 농어촌의 인터넷 이용률이 특히 저조했다.

평균 가구PC 보유율은 65.1%(전년대비 1.7%포인트 상승)로 장애인 71.0%, 저소득층 63.1%, 농어민 57.4% 순으로 조사됐다.

취약계층의 정보접근은 일반국민의 89.7% 수준인 반면 정보역량 및 활용은 각각 45.7%, 53.1%로 여전히 미흡했다.

행안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들에 대한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지원, 저소득 가구 및 다문화가정 등에 대한 중고 PC 특별 지원, 농어민 및 고령층에 대한 정보화교육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박현준 기자 hjunpark@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