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부실자산 민간부문과 함께 매입

미국 재무부가 금융회사 구제계획에서 금융회사의 부실자산을 민간부문과 함께 매입하는 통합은행(aggregator bank)을 설립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 (WSJ) 인터넷판이 8일 보도했다.

앞서 미 정부가 발표한 '배드뱅크'와는 다르게 통합은행에는 7000억 달러의 구제금융 중 일부가 들어가지만 대부분의 자금은 민간부문에서 조달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 방안이 최종 계획에 들어갈지는 확실치 않지만 금융부실 해소 문제의 주요 해법으로 떠올랐다고 전했다.

티모시 가이트너 재무장관의 구제금융 개선책은 은행에 신규 자본 투입, 주택소유자를 돕기위한 새로운 프로그램, 소비 대출확장을 위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프로그램 확대, 부실 자산 해소 등 4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돼 있다. 특히 부실 자산 해소는 자산 가치 산정 방법에 어려움이 있어 가장 어려운 문제로 여겨졌다.

정부가 금융건의 부실자산 가치를 높게 산정하면 납세자의 부담이 되고 낮게 평가하면 관련 은행의 다른 자산도 추가 상각해야 돼 금융부실이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정부 관계자는 민간 부분 참여를 통해 부실자산의 가치가 시장에 의해 정해지게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결과를 내놓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통합은행에 참여하는 민간기업들도 매입한 부실자산의 가치가 결국 상승하면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보경 기자 pobo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