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CP금리 3년4개월만에 3%대

채권금리 상승, 3災(재)에 거래도 실종

채권시장이 기는(약세) 가운데 유독 기업어음(CP)만 날았다(강세, 금리하락). 또 시장 전반에 거래가 뜸한 가운데 약세장이면 어김없이 연출되는 단기물의 선방이 오늘도 이어졌다.

29일 한국증권업협회에 따르면 CP 91일물은 전거래일보다 0.11%포인트 급락한 3.98%를 기록해 3%대에 진입했다. 이는 지난 2005년 9월23일 3.95%를 기록한 이래 약 3년4개월만에 최저치다.

이한구 증권업협회 채권시장팀장은 “최근 한국은행이 CP매입 자금을 지원하고 있고, CP가 A1 등급인 우량물이기 때문에 시장수요가 많은 것 같다”며 “여기에 발행물량도 많지 않다보니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은 오늘도 보합을 유지하며 2.96으로 마감했다. 이는 지난 22일 이후 4거래일 연속 보합세다.

한편 국고채는 물론 크레딧물까지 대부분의 채권이 0.05%포인트 전후반으로 금리가 상승했다.

국고채 3년물은 0.05%포인트 상승한 3.41%를, 5년물도 0.04%포인트 오른 3.91%로 마감했다. 장기물인 국고채 10년물과 20년물도 나란히 0.06%포인트씩 상승한 4.57%와 4.98%를 기록했다.

통안채 364일물은 0.02%포인트 오른 2.58%로 공시됐고, 2년물도 0.04%포인트 상승한 3.06%로 고시됐다.

회사채 무보증3년 AA-등급물과 BBB-등급물도 각각 0.05%포인트 상승한 7.19%와 12.01%로 거래를 마쳤다.

박춘식 KB투자증권 부장은 “5시 발표 예정인 2월중 국고채 발행 물량 계획과 다음주 월요일부터 예정인 국고채 입찰로 부담감이 작용한 하루였다”며 “미국 채권시장에서 금리가 상승한 것도 또 다른 요인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그나마 특징이라면 공사채 발행물량이 많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국고채와의 스프레드가 벌어진 점과 약세장에서 듀레이션 조절을 위해 1년물과 1.5년물 위주 통안채 단기물이 강세를 보인 점”이라고 덧붙였다.

김남현 기자 nh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