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 용산참사에 웬 과격시위 타령

이명박 대통령이 새 출발을 다짐하며 1.19 개각을 단행한 바로 다음날 용산 철거민 참사라는 메가톤급 돌발 악재가 터지면서 청와대 전체가 당혹감에 휩싸였다.

20일 국무회의 도중 긴급 보고를 받은 이 대통령은 철저한 진상파악을 지시했고 청와대는 분주하게 움직였다. 하지만 이날 오후 용산 철거민 참사에 대해 청와대가 내놓은 입장은 상식 이하였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용산 참사와 관련, "과격시위의 악순환을 끊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철거민의 과격시위로 이번 참사가 일어났다고 해석할 수 있는 발언으로 경찰 과잉진압이 문제라는 일반적 시각과 배치되는 것.

논란이 일자 청와대는 발언을 취소하고 "과격시위와 강경진압의 악순환이 끊어졌으면 좋겠다"고 입장을 바꿨다. 하지만 이 발언 역시 경찰의 강경진압을 인정한 꼴이 되면서 곧 취소됐다.

청와대는 이후 '과격시위'와 '강경진압'이라는 민감한 표현은 쏙 빼버리고 "경위야 어찌됐든 이번 사고로 많은 인명피해가 빚어진 것에 대해 참으로 안타깝고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총리의 담화문이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고 최종 입장을 내놓았다.

정부의 공식입장이라는 총리 담화문 역시 애매한 구석이 적지 않았다. 이번 사태에 깊은 유감을 표명한 한승수 총리의 담화문에는 '반성'보다는 법질서 확립을 촉구하는 내용이 적지 않았다.

한마디로 이번 참사를 바라보는 청와대와 정부의 안이한 시각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정부는 지난해 쇠고기파동이라는 값비싼 수업료를 냈다. 성난 민심을 다독이기보다 자극하는 언행은 제2의 촛불로 비화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