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호기자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에 대격변이 예상된다.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 논의가 빠르게 진척되면서 넷플릭스에 대응할 대형 토종 플랫폼의 출현이 가시화하고 있다. 복잡한 주주 구조로 인해 그동안 지연되던 합병 논의는 최근 지상파 3사(KBS·MBC·SBS)가 합병에 동의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이제 티빙의 주요 주주인 KT의 최종 결정만 남은 상황이다.
티빙과 웨이브가 합병에 성공할 경우, 국내 최대 OTT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두 플랫폼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를 합산하면 1214만명으로, 이는 넷플릭스의 1167만명을 넘어서는 수치다. 설사 일부 중복 사용자를 고려하더라도, 두 플랫폼의 결합은 넷플릭스와의 경쟁 구도를 한층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2024년 9월 기준 티빙의 MAU는 787만명, 웨이브는 427만명에 이른다. 이 같은 사용자 규모는 단순한 이용자 수 확대를 넘어, 시장 지배력 측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합병을 통해 탄생한 강력한 플랫폼은 K-콘텐츠를 기반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도 높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K-드라마,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글로벌 이용자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국가대표 OTT'의 등장은 국내 콘텐츠 산업의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이번 합병은 국내 콘텐츠 제작사들이 겪고 있는 지식재산권(IP) 침해 문제를 완화하는 돌파구가 될 수 있다. 현재 많은 국내 제작사들은 글로벌 OTT 플랫폼에 종속된 구조 속에서 창작물의 권리를 온전히 보장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토종 OTT가 강력한 영향력을 갖추면, 국내 제작사들이 창작물의 가치를 지키며 보다 주도적으로 콘텐츠를 공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장르나 주제에 대한 콘텐츠를 제작할 때, 국내 시장에 맞는 맞춤형 전략을 세우고,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창작물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티빙과 웨이브가 합병에 성공한다 해도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다.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부분은 두 회사의 조직 문화를 조화롭게 통합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운영 방식과 기업 문화를 가진 조직이 하나로 합쳐질 때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최소화하고, 내부적으로 원활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서비스 통합 과정에서도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 각 플랫폼이 제공하는 기존 기능과 서비스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이용자 경험(UX)을 개선해야 한다. 합리적인 요금제를 제시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결론적으로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은 국내 OTT 시장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는 중요한 사건이다. 넷플릭스에 대항하는 거대 토종 플랫폼의 출현은 국내 콘텐츠 산업과 이용자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번 합병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K-콘텐츠를 무기로 한 새로운 글로벌 도전이 시작될 것이다. 한국적 정서를 담은 독창적인 콘텐츠와 차별된 플랫폼 전략을 통해 글로벌 무대에서 영향력을 넓혀가는 새로운 K-콘텐츠 시대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