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콕!건강]위험한 수면무호흡증…조기 치료 받아야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

[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부모님이 코를 골며 주무시다 보면 잠깐 숨소리도 들리지 않고 조용해졌다 다시 숨을 쉬는 때가 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을 의심해봐야 한다.

수면 무호흡증은 말 그대로 잠자는 동안 숨쉬기를 멈추는 증상이다. 신경학적 장애로 수면 중 모든 호흡성 노력을 중단하는 중추형 수면 무호흡증도 있지만 대부분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거나 두 유형이 혼합돼 나타난다. 국내 40~69세 인구 중 남성 27%, 여성 16%가 수면호흡장애를 가지고 있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국내 유병률은 남성 4.5%, 여성 3.2%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한 비만의 증가, 고령화, 음주와 흡연,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환자 수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낮에는 숨 쉬는 데 문제가 없지만 잠이 든 후에는 숨이 막혀 컥컥대는 증상을 보인다. 수면 중 혀뿌리가 있는 상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10초 이상 숨이 멈추는 수면무호흡이나 숨을 얕게 쉬는 수면저호흡 증상이 한 시간 동안 5회 이상 나타나면 수면무호흡증에 해당한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부족과 만성 피로를 유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방치하면 고혈압, 뇌졸중, 심부정맥, 당뇨병 그리고 사망률도 올라가게 된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1차 치료로는 지속적 양압술(CPAP)이 권장된다. 하지만 산소마스크와 같은 양압기를 쓰는 것이 번거롭다 보니 환자들의 순응도가 10%~50%로 떨어지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홍성욱 강동경희대병원 구강외과 교수 (사진=강동경희대병원)

이에 보다 간편한 구강 내 장치를 끼는 경우도 있다. 수면 시 입 안 치아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아래턱을 앞으로 빼 좁은 기도 공간을 넓히고 잘 때 기도를 막는 혀를 전방으로 내밀도록 해서 기도를 넓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한다. 코골이가 있거나 수면무호흡지수(AHI)가 30 미만인 경도~중등도 수면무호흡 환자를 대상으로 양압술을 원하지 않거나 치료에 실패한 때 쓰인다. 다만 심장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 만성 전신 질환, 심각한 치주 질환, 틀니 사용자, 턱관절 질환, 심한 비부비동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이 제한된다.

위턱뼈 중 입천장(경구개)이 좁아 비강의 호흡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 급속상악팽창술(RME)로 경구개를 넓혀주는 것도 수면무호흡증 개선 효과가 있다. 어금니 쪽 치아에 교정장치를 연결해 비강과 구개부의 폭경을 증가시키고, 구호흡을 개선하며 기도의 저항을 감소하는 방식이다. 5~16세 소아 및 청소년기 환자에게 적절한 방법으로 추천된다.

심하거나 교정 장치 착용이 어려운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볼 수도 있다. 양악전진술(MMA)은 중등도 이상의 심한 수면무호흡 환자에게서 사용된다. 나이가 어리고 수면무호흡지수와 체질량지수가 낮은 경우, 전진량이 많을 경우 수술 효과가 좋으며 다른 수술에 비해 수술 효과의 지속 기간도 길다.

홍성옥 강동경희대치과병원 구강외과 교수는 "대부분의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은 아래턱이 무턱이거나 얼굴이 길고 좁은 아데노이드 페이스인 경우가 많다"며 "이런 환자들에게는 기능뿐 아니라 외모적 개선도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상적인 얼굴 형태를 가진 경우에는 치료 계획을 정확히 세울 수 있는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하다고도 덧붙였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바이오헬스부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