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대기업 10곳 중 4곳은 이자 내기 어려워'

매출 1000대 제조사 재무 담당자 대상 자금 사정 인식 조사

출처=전국경제인연합회

[아시아경제 김평화 기자] 대기업 10곳 중 3~4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통화위원회가 12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만 올리는 베이비스텝만 단행하더라도 대기업 절반이 취약 기업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3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업체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1000대 기업 중 1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자금 사정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은 조사 대상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임계치가 평균 2.6%라고 설명했다. 기준금리 임계치는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수준이다. 임계치가 2.25%라면 이를 상회하는 기준금리 2.5%부터는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를 지급할 수 없다.

기준금리 임계치별 기업 비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 이하는 25.0%, 2.25%는 12.0%로 기업 10곳 중 3곳 이상(37.0%)이 이미 현 기준금리(2.5%)에서도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뒤로는 ▲2.5%(13.0%) ▲2.75%(9.0%) ▲3.0%(27.0%) 순이다.

전경련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은행이 12일 베이비스텝을 실행, 기준금리가 2.75%가 된다면 대기업 10곳 중 5곳(50.0%)은 취약 기업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으로 기준금리가 3.0%가 되면 취약 기업 수는 약 6곳(59.0%)으로 늘어난다는 설명이다.

응답 기업은 기준금리 인상의 금융 비용 영향을 묻는 항목에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때마다 금융 비용이 평균 2.0% 증가한다고 응답했다. 기준금리 인상 전망과 관련해서는 연말까지 3.0% 오르고 내년에는 3.4%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봤다.

출처=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의 자금 사정은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비슷하거나 악화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한 현 기업의 자금 사정은 ▲비슷(57.0%) ▲악화(28.0%) ▲호전(15.0%) 순으로 나타났다. 연말로 갈수록 자금 사정은 더욱 나빠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자금 사정이 악화한 이유로는 고금리와 고물가, 고환율의 3고(高) 현상을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은행 대출금리 인상(39.0%)과 회사채 금리 상승(8.0%) 등의 금리 영향(47.0%)이 가장 많았다. 원자재 가격(23.0%), 환율(17.0%) 상승 영향도 함께다.

반면 기업의 자금 수요는 올해 연말까지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이 37.0%로 감소(9.0%)의 네 배가 넘었다. 자금 수요 예상 부문은 ▲원자재·부품 매입(36.7%) ▲설비 투자(23.0%) ▲차입금 상환(15.0%) ▲인건비·관리비(12.3%) 순이다. 기업이 고물가와 고환율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해 원자재와 부품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게 전경련 설명이다.

응답 기업은 자금 조달 어려움을 묻는 항목에서 ▲신규 대출 및 대출 만기 연장(33.3%) ▲환율 리스크 관리(22.3%) ▲신용등급 관리(11.0%) 등을 지적했다. 안정적인 자금 관리를 위해 정책 당국에 바라는 과제로는 ▲환율 등 외환시장 변동성 최소화(24.7%) ▲경제 주체의 금융 방어력 고려한 금리 인상(20.7%) ▲공급망 관리 통한 소재·부품 수급 안정화(16.3%) 등을 꼽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한미 금리가 역전한 상황에서 추가 금리 인상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한계 상황에 처한 기업이 상당한 만큼 경제 주체의 금융 방어력을 고려한 신중한 금리 인상이 요구된다"며 "외환 시장의 안정 조치와 정책 금융 확대 등으로 금리 인상에 따른 기업 부담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