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영업시간에만 갈아타기 가능?'대환대출 '운영시간' 쟁점

은행 영업시간 내 서비스 제한
금융사·핀테크 의견 엇갈려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 정부가 추진 중인 대환대출(대출 갈아타기) 플랫폼이 10월 출범을 앞둔 가운데 운영 시간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은행 영업시간으로만 서비스를 제한하는 것을 놓고 기존 금융사들과 핀테크업체들 간 의견이 엇갈려서다. 또 금융사와 갈아타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업체 간 수수료를 놓고도 이해관계가 뚜렷해 대환대출 서비스 시행에 앞서 마찰이 예상된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결제원은 민간업체 12곳(핀다·비바리퍼블리카·NHN페이코·레이니스트·핀크·마이뱅크·핀셋·핀테크·팀윙크·핀마트·카카오페이·SK플래닛)과 관련협회 4곳(은행연합회·서민금융진흥원·여신금융협회·핀테크산업협회)에 대환대출 플랫폼을 설명하는 자리를 지난 10일 마련했다.

이날 설명회 공개된 로드맵에 따르면 10월 은행권의 참여를 시작으로 12월 저축은행과 캐피털 등 제2금융권이 참여하며, 늦어도 내년 초까지 각 주체의 참여가 이뤄질 예정이다. 시범운영은 10월부터이며, 내년 상반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플랫폼이 마련되면 각 금융사의 대출 조건을 소비자가 비교해보고 자유롭게 다른 대출로 갈아탈 수 있게 된다. 개별 금융사의 대출 기간과 금리 조건 등의 정보가 공개되면서 금융권에서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하지만 서비스 출시 전부터 기존 금융권과 플랫폼사 간 운영 방법을 놓고 서로 다른 주장을 내놓고 있다.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대환대출 플랫폼 서비스 이용시간이다. 10월 시작되는 시범운영 기간동안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운영이 이뤄지며 은행 영업일에만 서비스가 진행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

핀테크업체 "비대면 서비스 24시간 가능케 해야"

대환대출 플랫폼을 준비하는 업체들은 서비스 이용시간이 은행 영업시간에 맞춰져 소비자 참여율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비대면 서비스이기 때문에 소비자 편의를 위해서라도 24시간 이용이 가능하게 해야 된다는 주장이다. 반면 은행들은 보안과 이자 문제 등을 이유로 영업시간 내로 제한해야 된다고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시범운영 기간 동안 은행 영업시간에만 운영한 뒤 이후 재조정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핀테크업체 관계자는 "초기 이용률에 따라 대환대출 플랫폼 서비스의 성패가 갈릴 것"이라며 "은행 온라인 서비스가 24시간 365일 제공되는 상황에서 영업점 창구 기준으로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은 직장인 등의 근무시간을 고려하면 대환대출 플랫폼 활성화 동력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수수료율도 여전히 쟁점이다. 가장 핵심은 금융사와 갈아타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업체 간 수수료율이다. 대출 이동이 잦아지면 플랫폼 제공 업체의 중개수수료만 늘어날 수 있어서다. 중도상환 수수료도 논의 대상이다. 금융사가 중도상환 수수료율을 높게 책정하면 대출을 갈아타기 자체가 어려워진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중도상환 수수료율을 적정선에서 책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한편,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한다고 알려진 네이버파이낸셜은 최종 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네이버파이낸셜은 현재 참여 여부를 놓고 내부 논의를 진행 중이다. 최근 설명회에도 네이버파이낸셜은 참석하지 않았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