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차단하며 대출규제 일부완화…공급대책은 그대로

개각·여당 지도부 구성 후 종부세 등 논의 시작할 전망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세종=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4·7 재·보궐 선거 후 기존 공급 대책 원안은 유지하되 일부 대출 규제는 완회될 전망이다. 규제 완화는 청년과 생애 첫 주택구입 등 실수요자를 대상으로 우선 추진되고 있다. 개각, 여당 지도부 인선이 끝난 뒤엔 보유세, 거래세 등 세제 정책을 면밀히 들여다볼 전망이다.

11일 정부 당국과 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4·7 재·보궐 선거 이후 정부의 기존 부동산 정책에 대한 물밑 재검토 작업이 시작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고 주택공급을 확대하겠다는 기존 부동산 정책의 큰 틀은 유지하겠지만 그렇다고 기존 정책을 하나도 바꾸지 않겠다는 의미는 아니다"면서 "선거를 전후해 제기된 다양한 의견을 꼼꼼하게 검토해보는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도 "금융·세제 등 기존 부동산 정책 전반을 결국 패키지로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며 "다만 현재로선 당 지도부 재편 등 과제를 먼저 정리하고 이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4·7 재·보궐 선거를 통해 기존 부동산 정책에 대한 민심이 확인된 만큼 일정 수준에서 기존 정책에 대한 수정·보완이 불가피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선거 바로 다음날인 8일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기존 부동산 정책의 큰 틀을 흔들림 없이 유지해야 한다"면서도 "그간 제기된 다양한 의견의 취지를 짚어보겠다"고 한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한 발언이다.

정부는 2·4 대책 등의 공급대책은 유지할 방침이다. 공급이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가장 큰 도구고, 여기서 흔들리면 시장 전체를 잃을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유동성을 통제하는 대출 규제는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일부 완화하는 방안이 이미 상당 부분 진전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대출규제 완화 방안은 이달 안에 가계부채 관리방안에 담겨 발표될 예정이다.

정책 논의는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의 핵심인 보유세와 거래세 등 세제로 향할 예정이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기존 정책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고민스럽긴 하지만 결국은 종부세 등 세제도 일정 부분 완화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상당히 있다"면서 "다만 이런 논의는 현재 진행된 내용이 없고 앞으로 논의를 해봐야 방향성이 나오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현 정부의 대표적인 부동산 정책은 다주택자와 단기 거래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강화, 양도소득세 등 거래세 중과 등이다.

당정 내외부에서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카드는 1가구 1주택자에 대한 종부세 완화다. 이미 서울 주택 6채 중 1채가 종부세 대상이 된 만큼 공시가 9억원인 종부세 부과 기준을 올리거나 올해 시행 예정인 종부세 인상(0.5~2.7→0.6~3.0%)을 유예해주는 등의 방식이 거론된다. 장기간 실거주한 이에게 공제율을 끌어올리는 방식 또한 유력한 대안 중 하나로 제시돼 있다. 단기 매매 차익의 70%까지를 회수하는 양도소득세 중과 정책을 일정 부분 완화·유예하는 방안도 선택 가능한 옵션이다.

다만 세제 정책은 현 정부가 양보할 수 없는 기존 부동산 정책의 '큰 틀'에 해당한다는 시각도 상당하다. 이 틀이 흔들리면 기존 부동산 정책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서 간신히 안정을 찾은 부동산 시장이 다시 요동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민간 연구소 관계자는 "부동산 세제의 경우 이미 돌이킬 수 있는 시점을 지났다고 본다"면서 "미세한 조정 정도는 가능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가진 틀에선 수정·보완이 안 되는 문제"라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는 "세제 등 민감한 이슈는 결국 새로운 여당 지도부가 들어서고 개각 문제도 일단락돼야 논의 가능한 주제"라며 "현재로선 논의가 시작되지 않았고 여타 상황을 지켜보는 국면"이라고 설명했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