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韓소스류 수출 역대 최대…유망 시장은 중국

[아시아경제 우수연 기자]한류 열풍이 최근 한식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지난해 한국 소스류 수출이 3억 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5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유망품목 AI 리포트-소스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소스류 수출은 전년대비 25.8% 증가한 3억172만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對세계 한국산 소스류 수출액 및 수출증가율 추이/자료=한국무역협회

소스류 수출은 지난 2016년 이후 매년 8~11%대의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왔으며 특히 지난해는 코로나19로 홈쿡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예년보다도 두 배 이상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전체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기타 소스류 수출은 2019년 대비 무려 33.6%나 증가했다. 이 기타 소스류에는 치킨양념·떡볶이·불고기·불닭 소스 등이 포함돼 있어 한국식 소스류의 해외 대중화가 수출 실적에도 고스란히 반영된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AI가 주요 국가별 국내총생산(GDP), 인구, 수입 증가율 등 9개의 주요 지표를 종합해 평가한 결과 우리나라 소스류 수출 잠재력이 가장 높은 시장은 중국(84.1점)으로 지목됐다. 이어 미국(81.6점), 러시아(80.8점) 순이었다.

중국은 미국에 이어 한국 소스류 수출이 두 번째로 많은 국가로 지난해 전체 소스류 수출의 20.2%(6108만달러)를 차지했다. 중국 소스류 수입시장 내 한국 업체 점유율은 2016년 14.9%에서 2020년 24.9%로 4년 사이 크게 늘며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점유율 2위인 태국의 경우 같은 기간 점유율이 소폭 하락하며 한국의 중국 소스류 시장 내 지배력 강화가 확인됐다.

박가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최근 김치 맛 가루가 아마존의 시즈닝 신제품 부문 판매 1위를 차지하고 고추장 소스 햄버거가 미국 유명 햄버거 체인에서 판매되는 등 한국식 입맛을 담은 음식이 현지인의 식탁에 올라가고 있다"면서 "한국 드라마와 K-Pop에서 시작된 한류가 이제 한식 등 문화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는 만큼 현지인의 입맛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고 브랜드 강화를 통해 해외 시장을 공략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