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흘째 철도 총파업, 사회·경제적 손실 '눈덩이' 우려

20일 철도노조가 무기한 총파업을 시작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구로구 한국철도공사 구로차량사업소. /문호남 기자 munonam@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전국철도노조가 총파업을 사흘째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 전철, KTX, 일반열차 운행 감축으로 이용객 불편과 출퇴근길 교통혼잡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화물열차의 운행률이 당초 예상보다 낮은 30% 미만에 그치면서 장기화 될 경우, 수출업체의 물류 운송 차질로 인한 경제적 손실 우려도 갈 수록 커지고 있다.

22일 한국철도(코레일)은 이날 수도권 전철의 운행률을 전일에 이어 평시 대비 82% 수준을 유지할 계획이다. 출퇴근 혼잡시간 대에는 인력을 집중 투입해 운행률을 각각 92%, 84% 수준에 맞출 계획이지만 이용객 불편은 지속될 전망이다. 코레일은 현재 KTX는 평시 대비 68.9%, 새마을호와 무궁화호는 각각 58.3%, 62.5% 수준으로 운영하고 있다.

파업 이틀째인 21일 출근 시간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2호선의 상황은 평시와 크게 차이가 없었지만 한국철도가 일부 또는 전부 운영하는 1, 3, 4호선은 평시 대비 8%포인트 낮아진 운행률 감축에 따른 혼잡을 피하지 못했다. 특히 경기 고양시와 파주시 시민들이 이용하는 경의중앙선의 경우 운행률이 162회에서 124회로 평시 대비 76.5%로 떨어지면서 배차 간격이 평소 보다 긴 30분 이상으로 벌어졌다. 코레일 관계자는 "필수유지인력을 포함해 군 인력 등 대체인력을 투입해 열차 운행률을 최대한 유지하고 있다"면서 "혼잡시간 때 이용객 불편을 줄이기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화물열차 운행은 당초 예상과 달리 30% 미만으로 떨어졌다. 코레일은 화물열차 운행률을 평시 대비 31%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밝혔지만, 전일 오후 4시를 기준으로 28%대로 떨어졌다. 수출업체의 물류 운송 부담이 갈 수록 높아질 수 있는 대목이다.

문제는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다. 열차 운행률이 더 떨어져 이용객 불편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코레일은 대체 인력 피로도와 운행 안전 확보 등을 고려해 KTX 운행률을 파업 초기 68.9%에서 필수 유지 업무 수준인 56.7%로 낮출 계획이다. 광역 전철과 일반열차의 운행률은 물론 화물열차 운행률의 하향 조정 역시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6년 철도노조의 74일간 장기 파업으로 시멘트 업계의 피해액만 300억원으로 추산되기도 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19일부터 정부세종청사에 지자체 등을 포함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설치해 운영에 들어갔고, 코레일은 지난 18일부터 비상수송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하며 열차운행, 안전대책 수립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장기화 될 경우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

코레일의 재무적 부담도 커질 전망이다. 손병석 코레일 사장은 "파업 시 하루 손실 규모가 약 30억원에 달한다"며 올해 손실 규모가 지난해 수준을 크게 초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이에 3분기 누적 손실 약 700억원에 파업 손실을 합하면 연간 손실 규모는 단기에 1000억원을 훌쩍 뛰어넘을 가능성이 높다. 2016년 장기 파업 때 코레일의 직접 손실 규모는 600억원을 웃돈 것으로 알려졌다.

파업 참가자 수는 필수유지 인력을 제외하고 7600명 수준으로 출근대상자 2만5000여명 중 30% 규모다. 비번과 휴무자를 합쳐 파업 참가율은 주말 사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운행 중지에 따는 미취소 승차권은 21일 오후 4시를 기준으로 KTX와 일반열차를 합쳐 2100석으로 집계됐다.

코레일 관계자는 "파업 예고 기간의 승차권 환불이나 변경에 대한 수수료는 면제하고, 열차 운행이 중지된 경우 전액 환불 조치할 예정"이라며 "예약 취소하지 않는 승차권도 1년 이내에 위약금 없이 전액 환불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손병석 코레일 사장이 20일 서울 용산구 한국철도공사 서울사옥에서 철도노조 파업에 대한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고 있다. 손 사장은 노사협상의 진행과정과 협의점을 소상히 밝히고 향후 수송대책과 추가 협상 추진 방안 등을 제시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