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체 줄지 않는 가계 빚 증가폭…주택담보대출도 여전히 늘어

아파트 매매거래 증가와 전세자금 대출 수요 증가

예금은행 중심으로 증가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대출 감소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우리나라 가계 빚 증가 규모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3분기 가계신용은 전분기 대비 15조9000억원 늘어난 1572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분기에는 16조3000억원 늘어났었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분기 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3분기 가계신용중 가계대출 잔액은 1481조6000억원, 판매신용은 91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중에서 예금은행의 3분기 증가규모는 전분기 대비 18조7000억원 늘어난 750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비은행취급기관의 대출은 1조9000억원 줄어든 315조8000억원이었다. 예금은행의 대출 증가폭이 2분기(13조3000억원)에 비해 늘어난 반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2분기(5000억원)에 비해 감소했다.

서유정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예금은행은 아파트 매매거래 증가와 전세자금 대출 수요가 증가해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전분기에 비해 증가폭이 확대됐다"며 "그에 비해 비은행취급기관은 리스크 관리 강화로 주택담보대출 감소세가 소폭 확대되고 기타대출 증가폭이 축소되면서 감소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보험회사, 여신전문회사 같은 기타금융기관의 대출은 3분기 전분기 대비 3.2% 감소해 415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이 감소세로 전환됐고 신용융자도 줄어들었다.

3분기 판매신용(자동차, 가전제품 등을 할부로 구입한 후 미지불한 금액)은 여신전문회사를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2조4000억원 늘어난 91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한은은 3분기부터 예금은행과 비은행예금취급기관, 기타금융기관의 상황을 모두 반영한 우리나라 전체 주택담보대출 규모를 발표했다. 3분기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830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들어 증가 규모를 보면 1분기 4조3000억원, 2분기 8조4000억원, 3분기 9조5000억원으로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서 팀장은 "3분기 우리나라 가계 빚 증가 속도가 다소 줄어들었다. 3분기 가계신용은 전분기 대비 15조9000억원 늘어난 1572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 대비 1.0% 증가했다. 지난 2분기에는 16조3000억원, 작년 3분기엔 21조5000억원 늘어났던 것에 비하면 증가폭이 다소 줄어든 셈이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분기 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3분기 가계신용중 가계대출 잔액은 1481조6000억원, 판매신용은 91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중에서 예금은행의 3분기 증가규모는 전분기 대비 18조7000억원 늘어난 750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비은행취급기관의 대출은 1조9000억원 줄어든 315조8000억원이었다. 예금은행의 대출 증가폭이 2분기(13조3000억원)에 비해 늘어난 반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2분기(5000억원)에 비해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예금은행은 아파트 매매거래 증가와 전세자금 대출 수요가 증가해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전분기에 비해 증가폭이 확대됐다"며 "그에 비해 비은행취급기관은 리스크 관리 강화로 주택담보대출 감소세가 소폭 확대되고 기타대출 증가폭이 축소되면서 감소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보험회사, 여신전문회사 같은 기타금융기관의 대출은 3분기 전분기 대비 3.2% 감소해 415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이 감소세로 전환됐고 신용융자도 줄어들었다.

3분기 판매신용(자동차, 가전제품 등을 할부로 구입한 후 미지불한 금액)은 여신전문회사를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2조4000억원 늘어난 91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한은은 3분기부터 예금은행과 비은행예금취급기관, 기타금융기관의 상황을 모두 반영한 우리나라 전체 주택담보대출 규모를 발표했다. 3분기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830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들어 증가 규모를 보면 1분기 4조3000억원, 2분기 8조4000억원, 3분기 9조5000억원으로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서 팀장은 "최근 주담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은 입주물량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아파트 매매량에 따른 실제 구입자금이 늘고 전세자금대출이 가세한 것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