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硏 '내년 미국 경제둔화 불가피, 충격 대비해야'

자료 : 현대경제연구원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내년 미국 경제가 중국과의 무역전쟁 역풍과 통화 및 재정 정책의 한계로 인해 둔화세가 불가피할 것이라며 우리나라도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20일 '2020년 미국 경제 전망과 5대 이슈' 보고서를 발간하고 내년 미국 경제 성장률이 올해 보다 낮은 2% 전후에 머물 것이라고 예상했다.

보고서는 미국 경제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민간소비 부문의 일부 지표에서 둔화 시그널이 포착되고 있으나 양호한 고용 경기 지속, 주택 경기 반등 등으로 가계 부분의 구매력은 여전히 견고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제조업 부진의 영향이 제한적일 경우 점진적 둔화로 소프트랜딩이 예상되지만, 제조업 부진이 서비스업, 고용, 등 경제 전반으로 확산될 경우 경기 하강 폭이 확대될 우려도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내년 미국 경제의 5대 이슈로는 무역전쟁의 역풍, 통화 정책 및 재정 정책의 한계, 제조업 경기 부진의 확산, 달러화 약세 전환, 선거와 정책 불확실성을 꼽았다.

무역전쟁과 관련해서는 최근 미-중 무역협상이 부분합의에 도달했지만 현재 시행 중 관세 조치에는 변동이 없고 완전 타결 가능성은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아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 발생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올해 12월까지 중국산 수입품의 관세 인상 조치 및 계획으로 총 321억달러 규모의 경제 손실뿐만 아니라 향후 2년 동안 가구당 1315달러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통화정책의 경우 이미 낮은 수준의 정책 금리와 재정 건전성 우려 부각 등으로 통화 및 재정 정책은 한계에 봉착할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미국 경기 둔화시 연방준비제도는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보이지만 이미 정책 금리는 낮은 수준을 보여 인하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2020년 재정수지 적자가 1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되는 등 재정 건전성 우려가 두드러져 재정 지출이 크게 확대되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제조업 경기 부진도 위험요인이다. 보고서는 미국 제조업 경기 부진이 서비스업과 고용 등 경제 전반으로 확산할 가능성 존재한다고 봤다. 광공업 전체의 생산 활동 동향을 볼 수 있는 산업생산지수 증가세가 마이너스로 전환됐고 추세적으로 제조업과 비제조업 경기 지표와 고용 관련 선행 지표가 동반 하락하고 있어, 제조업 경기 부진의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또한 그동안 강세를 보였던 달러화가 향후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 경기 부진, 글로벌 불확실성 완화 등 요인으로 약세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강세를 보였던 미국 달러화는 미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미국 경기 둔화 등으로 약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미-중 무역 분쟁 재확산,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달러화는 제한된 약세를 보일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무역분쟁의 장기화와 더불어 2020년 미국 대선을 위해 트럼프 행정부가 포퓰리즘적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있어, 미국의 정치적 리스크 및 정책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낮은 지지율 및 세계 경기의 하락추세 등을 고려할 때, 재선을 위한 포퓰리즘적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존재해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산업분석팀장은 "향후 미국 경제의 소프트랜딩 가능성이 크나, 경제 불확실성 요인들이 산재하여 예상보다 빠른 경기 하강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는 만큼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우선 세계 전반적인 경기 하강 흐름에 비해 아직까지 미국이 비교적 양호한 경기 흐름을 보이고 있으므로 이를 기회요인으로 활용하여 미국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공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중 간 무역분쟁 장기화로 인한 리스크와 더불어 전 세계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인한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며 "또한 대내외 불확실성 요인들로 인해 향후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경기 하강에 접어들 가능성에 대비하여 국내 펀더멘틀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향후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이로 인한 기회요인을 확대하고 위험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