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대 총선서 꺾인 대세론…선거에 '무조건'은 없었다

[기획] D-6개월 달아오르는 총선레이스…'총선 대세론'의 역설, 골인 지점에 숨겨진 대역전의 불씨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내년 4월15일 제21대 총선이 6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20대 국회 마지막 국정감사도 이미 반환점을 돌았다. 국감 일정이 마무리되면 '총선 레이스'의 열기는 더욱 달아오를 수밖에 없다. '예측불허'의 대한민국 선거, 이번에는 어떤 그림이 그려질까. 21대 총선의 관전 포인트를 3회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주

정치평론가들은 흔히 두 가지의 기준으로 선거결과를 예측한다고 말한다. 하나는 여론의 구도고, 나머지는 막판 이슈다. 이는 서로 맞물려 선거 말미 발생한 사건이 곧 선거 전체를 좌지우지하는 구도가 되기도 한다.

앞서 치른 두번의 선거도 어김없이 이 공식을 따라갔다. 19대ㆍ20대 총선의 공통점은 '대세론'이 꺾였다는데 있다. 선거 1~2개월을 남기고 발생한 막판 변수가 총선 성적표마저 바꿔버린 셈이다.

◆20대 총선, 야권분열 보다 '공천파동' 심판에 무게=2016년 4월 치른 20대 총선은 당시 집권여당이었던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이 절대적으로 유리했다. 총선 직전 '친노 패권주의' 청산을 주장하며 안철수ㆍ김한길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국민의당을 창당했기 때문이다.

당시 여의도 정가에선 야권 지지층들의 표 분산으로 야권 강세 지역에서도 새누리당이 승리할 것이라고 점친 곳이 많았다. 적어도 현상을 유지(150~160석)하거나 개헌이 가능한 200석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거론됐다. 하지만 결과는 새누리당의 참패였다. 야권분열 상황에서도 민주당은 123석을 가져갔고, 새누리당은 122석을 확보해 16년 만에 여소야대 국회를 탄생시켰다.

유권자들이 등을 돌린 계기는 막판에 터진 새누리당 내 공천갈등이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이른바 '진박 공천'을 강행했고 이에 반발한 당시 당 대표(김무성 의원)와 청와대가 충돌하는 모습이 막판 선거이슈를 장악했다. 결국 이는 계파갈등에 대한 실망과 '공천파동' 심판구도로 확대돼 지지층마저 외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19대 총선, '정권심판론'에 기댄채 내분 못 추스린 野 심판=2012년에 치른 19대 총선에서는 정반대의 상황이 연출됐다.

당시 민심은 야권에 유리했다. 여당 전당대회 돈봉투 사건, 이명박 당시 대통령 측근 비리와 민간인 불법사찰 논란 등이 연이어 터지며 '정권심판론'이 대세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2011년 하반기에 치른 재보궐선거에도 야5당이 연대해 서울시장 선거를 승리로 치렀다.

하지만 결과는 새누리당 152석, 민주통합당(현 더불어민주당) 127석으로 사실상 민주통합당의 참패였다. 당시 한명숙 대표는 "국민 여론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했다"며 패배를 인정하기도 했다.

이토록 참담한 성적표는 '정권심판론'에만 기댄채 당 내분을 제대로 추스리지 못한데 있다. 당시 새누리당이 여론이 악화된 MB정부 세력을 과감히 잘라냄과 동시에 보수정당임에도 일명 경제민주화 공약을 잇달아 발표하며 중도층 흡수에 노력을 기울인 반면 민주통합당은 공천잡음을 이겨내지 못했다. 특정 계파, 세력만을 챙긴 공천결과가 당 내 계파 갈등으로 이어지면서 결국 유권자들의 역심판을 받게된 것이다.

◆조국 사퇴로 원점으로 돌아온 총선 풍향계, 21대 총선은?=과거의 선거결과는 '대세론'에 취하면 '폭망'할 수 있다는 공통적인 교훈을 남겼다. 유리한 환경이 오히려 공천 과열경쟁과 섣부른 자만감을 부추기고 결과적으로 국민 거부감도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21대 총선이 6개월 남짓 남은 현재, 총선 구도는 원점으로 돌아왔다. 정국 초반만 해도 민주당의 '대세론'이 우세했으나 '조국 대전'이 불거지며 예측할 수 없는 승부로 바뀌고 있다.

내년 총선은 어떤 구도가 민심을 뒤흔들까. 지금의 '조국 블랙홀'이 내년 총선까지 이어진다면 분명 야당에 유리한 환경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내부의 위기를 극복하지 못한채 외부의 위기에만 기댄다면 도리어 민주당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줄 수도 있다. 내년 남북 관계의 모습도 총선의 막판 변수다.

정치평론가들은 내년 선거의 모습을 벌써부터 예단할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한달 혹은 선거 운동기간에도 여론의 구도는 언제든 바뀔 수 있다는 얘기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과거 선거를 통해 얻은 절대 불변의 법칙은 '선거는 끝까지 알 수 없다'는 단 하나"라며 "한쪽이 유리한 구도라고 해도 골인지점에 어떤 변수가 기다리고 있을지 모를 일"이라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