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 방치하면 뇌기능 떨어지고 뇌조직 손상'

-분당서울대병원, 수면무호흡증 환자 135명 뇌 영상 분석 결과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 잠을 자는 동안 짧은 시간 호흡이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을 방치하면 뇌 기능이 떨어지고 뇌 조직이 손상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윤창호 신경과 교수팀이 수면무호흡증 환자 135명(평균 나이 59세)과 증상이 없는 건강한 대조군 165명(평균 나이 58세)를 대상으로 뇌 영상검사(MRI)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와 같았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이 뇌 영상을 통해 실제 수면무호흡증이 나타나는 동안 뇌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분석했더니,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는 대뇌백질이 손상된 것으로 확인됐다. 백질은 대뇌에서 정보 전달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세포의 축삭이 지나가는 곳이다. 백질에 변성이 생기거나 손상되면 뇌의 한쪽 부분에서 다른 쪽까지 정보 전달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또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뇌 영상에서는 뇌세포를 잇는 구조적 연결성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뇌에서 신경세포 연결 이상으로 구조적 변화와 연결성에 이상이 초래되면 뇌의 각 영역 사이에 정보를 교환하거나 정보를 통합·분리하는 일에도 문제가 생겨 전체적인 뇌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수면무호흡증은 성인 인구 4~8%가 앓고 있는 흔한 질환으로 수면 중 기도의 막힘이나 호흡 조절의 어려움으로 본인이 느끼지 못하는 짧은 시간 동안 호흡이 멈추는 식으로 나타난다. 신체 내 산소 공급이 중단되고 뇌가 수시로 깨는 수면 분절을 초래해 주간 졸음, 과수면증, 집중력 저하를 유발한다.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심근허혈, 뇌졸중의 발병 위험까지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윤창호 교수는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간헐적 저산소증, 교감신경계의 활성화, 수면 분절은 뇌에 스트레스를 가하고 결국은 각 세포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구조적 연결성에도 이상이 발생한다"며 "뇌의 여러 영역에서 정보처리능력을 저하시키는 위험 인자인 만큼 적극 치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방치하면 뇌 기능이 떨어지고 뇌 조직이 손상돼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코를 골거나 무호흡증 증상이 나타난다면 정확한 진단을 통해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및 질병관리본부 지원을 받아 윤창호 교수, 이민희 미시간대학 박사, 로버트 토마스 하버드의대 교수, 한봉수 연세대학교 교수, 신철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간 공동 연구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는 미국 수면연구학회학술지 '수면'(SLEEP)에 게재됐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