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첨단산업 육성하지만…고용 악화, 미국과 갈등이 걸림돌

중국 빅데이터 산업 규모 660억달러 수준

2015년에 비해 약 1.5배 성장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중국 정부가 첨단산업을 육성해 경제구조를 바꾸려 하지만 고용 상황 악화와 미국과의 갈등 심화 등이 걸림돌로 꼽혔다.

4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해외경제포커스'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2010년대 들어 기존 성장모델의 한계를 인식하고 고부가가치 첨단산업 육성을 통해 경제구조 재편을 꾀하고 있다.

지난해 이후 미국의 중국 IT기업 제재가 지속되면서 중국 제조업 부진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시장에서 미중 무역분쟁의 원인 중 하나로 첨단 제조업 주도권 확보를 꼽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첨단제조업 굴기의 지속가능성 여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중국의 첨단제조업 중 인공지능, 빅데이터 및 신에너지차 산업의 발전이 주목된다. 중국 인공지능 산업의 시장 규모는 현재 약 50억 달러 수준이며 2013년 이후 AI 산업에 대한 투자가 꾸준히 증가했다.

중국 빅데이터 산업 규모는 2015년에 비해 약 1.5배 성장한 660억달러 수준이다. 중국은 2014년 세계 최초의 빅데이터 거래소를 설립하기도 했다. 신에너지차는 전기차를 중심으로 급속히 성장 중이다. 지난해 기준 중국 기업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47.6%를 점유하고 있다.

보고서는 "첨단 산업의 발전에 따라 당면하게 될 주요 과제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고용 시장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경제의 디지털화가 제조업 고용을 악화시킬 것으로 평가했다.

국무원 발전연구기금회도 첨단기술 발전 등으로 2030년까지 중국내 제조업 일자리의 20% 가량이 대체 또는 소멸될 것으로 전망했다. 제조업 일자리 대체, 신규 일자리 창출 및 업종별 고용 여건 변화 등을 염두에 둔 고용 안정 정책이 예상된다.

또 "글로벌 보호주의 기조 하에서 현재 미국과 겪고 있는 경제적 마찰과 갈등이 여타국으로까지 확산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글로벌 저성장 기조로 인한 주요국의 보호주의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중국의 첨단제조업 굴기는 기술선도국과의 마찰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다. 이에 따라 '중국제조 2025'의 전략 수정과 속도 조절이 불가피하다는 평가다.

이어 특정산업 육성을 위한 과도한 자원 집중이 중소업체 난립, 재정부담 가중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와 기업 운영의 비효율성 제거도 필요하다고 했다.

한은 관계자는 "중국 첨단산업의 발전은 대내적으로는 내수 중심의 성장구조 가속화,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교역구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교역국의 선제적 대응이 긴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