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전쟁 후 한중 금융시장 동조화 뚜렷'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미·중 무역전쟁이 심화하면서 한국과 중국 금융시장 사이 동조화 현상도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31일 국회예산정책처의 '한미중 금융시장 간 동조화 및 전이효과 분석'에 따르면 2010년 1월부터 2018년 12월 사이 일별 환율,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 주가지수 등을 분석한 결과, 원·달러 환율과 위안화·달러 환율의 상관계수는 2017년부터 점차 상승해 지난해 11월 0.9 이상을 기록했다. 1에 가까울수록 한쪽이 상승 또는 하락할 때 다른 쪽도 이와 같은 경향을 나타낸다는 의미다.

이 같은 동조화는 미·중 무역분쟁 문제가 불거지며 위안화 변동 위험이 커진 가운데 유동성이 떨어지는 위안화 대신 중국과 주변국이면서 유동성이 풍부한 원화를 통한 헤지 거래(가격 변동에 따른 투자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거래)가 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증시에서도 2016년 이후 코스피지수와 미국 다우존스지수의 상관계수는 코스피·상하이종합지수의 상관계수보다 큰 양(+)의 값을 나타냈으나, 2018년 7월 이후부터는 코스피와 상하이종합지수 사이의 상관계수가 코스피·다우존스의 상관계수보다 커졌다. 지난해 12월 코스피와 상하이종합지수의 상관계수는 0.903인 데 반해 코스피·다우존스와의 상관계수는 -0.06에 불과했다. 중국 동조화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중국 금융시장 변동성이 국내 외환시장, 코스피 수익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환율시장에서도 원·달러 환율 변동성 가운데 위안화·달러 환율 변동성으로 설명되는 요인은 15.33%로 나타났다. 코스피 수익률은 상하이종합지수 수익률로 설명되는 요인이 18.50%였으나 다우존스 수익률로 설명되는 요인이 15.04%에 그쳤다.

다만 한국 국고채 금리는 최근 들어 중국보다는 미국과 상관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11월∼12월 한국과 미국 국채 금리의 상관계수는 평균 0.52였지만 한국과 중국의 경우 -0.21에 불과했다. 한국 국고채 금리 변동성은 미국 국채 금리 변동성으로 설명되는 요인이 28.35%로, 중국 국채 금리 변동성에 따라 변동이 설명되는 비율(26.77%)을 소폭 웃돌았다.

보고서는 이 같은 동조화 현상을 확대시키는 배경으로 대외 불확실성 확대,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금융시장 진입 증가 등을 꼽으면서 "부정적 파급효과가 생기지 않도록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