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유엔 제재 뚫고 여전히 석유·석탄 거래'

WSJ, 유엔보고서 인용해 보도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기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뉴욕 김봉수 특파원] 북한이 불법 선박 환적, 사이버 공격 등으로 강력한 유엔 제재를 우회해 핵무기 및 대륙간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다는 유엔의 분석이 나왔다.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다음주 발간될 유엔의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유엔의 봉쇄를 뚫고 불법적인 선박 대 선박 환적을 통해 석유류를 수입하고 석탄 수출을 수출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에는 이란이 후원하는 예멘 후티 반군과 리비아ㆍ수단 등에 소형 무기, 군사 장비도 판매한 것으로 확인됐다.

유엔은 이에 대해 "글로벌 은행과 보험사들은 계속해서 (북한에) 무의식적으로 지불하고 있으며, 이전보다 더 큰 수백만달러 규모의 석탄 및 석유류의 불법적인 선박 환적 시도에 대한 보험혜택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도 제재 우회 수단 중 하나로 꼽았다. 금융기관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 등을 생존의 주요 수단으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5월 북한 해커들이 칠레의 방코 드 칠레 은행으로부터 1000만달러를 훔쳐서 홍콩의 계좌로 송금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지난해 8월에도 북한의 해커들은 인도 코스모스은행에서 1350만달러를 빼돌려 북한과 연계된 또 다른 홍콩 소재 회사로 보냈다.

북한은 또 최근 선박 환적 석유 수송을 포함한 제재 탈출과 관련해 중국, 러시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등에 30명 이상의 은행 직원들을 배치해놓았다. 이는 유엔의 제재에 따른 금지 사항 중 하나다. 그러나 러시아 등 일부 국가들은 유엔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북한 관리의 제명을 거부하고 있다.

예컨대 러시아는 유엔 보고서상 북한 대외무역은행의 대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북한 관리의 제명을 거부했는데, 그 명분은 그가 모스크바 주재 북한 대사관에서 상업 상담원 신분을 갖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 보고서는 또 북한 주민들이 12개국 이상에서 외국 기업 및 개인들과 합작회사를 만들어 전 세계를 상대로 영업을 계속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뉴욕 김봉수 특파원 bskim@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뉴욕 김봉수 특파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