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시화되는 '차이나 리스크'…금융시장 이슈따라 출렁(종합)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뉴욕 김은별 특파원] 글로벌 금융시장에 '차이나 리스크'가 상시화하고 있다. 미국 주요기업들이 줄줄이 중국 경기둔화를 이유로 실정을 하향조정하고 있고, 미ㆍ중 무역협상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도 커 투자자들이 갈팡질팡하는 모습이다. 이번주 미국 대형 기업들의 실적발표와 미ㆍ중 무역협상 등 대형 이벤트가 예정돼 있는 만큼, 글로벌 금융시장도 요동칠 가능성이 높다.

28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8.98포인트(0.84%) 내린 2만4528.2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0.91포인트(0.78%)하락한 2643.8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79.18포인트(1.11%) 내린 7085.68에 장을 마감했다.

중국 등 글로벌 경제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는 세계 최대 중장비업체인 캐터필러가 실망스러운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캐터필러는 특히 중국 수요가 줄면서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매출이 부진했다고 밝혔다. 중국 경기둔화와 원자재 가격 상승을 이유로 올해 실적 전망도 시장 기대 보다 낮춰 잡았다. 캐터필러의 주가는 이날 9.13% 내렸다.

반도체 제조업체 엔비디아도 중국 경기 악화 등을 이유로 4분기 매출 전망(가이던스)을 하향 조정했다.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 탓에 게임 그래픽과 프로세싱 유닛 등에서 소비자들의 수요가 확연히 줄었다"라고 설명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13.82% 떨어졌다.

이날 중국이 발표한 12월 공업이익이 전년대비 1.9% 줄어든 6808억3000만 위안(약 112조8000억원)에 그쳐 두 달 연속 하락한 것도 중국 경기상황에 대한 우려가 커진 요인이다.

이번주에도 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미국 대형 기업들의 실적이 줄줄이 예고돼 있다.가장 관심이 집중되는 회사는 역시 애플이다. 애플은 이미 지난 2일 팀 쿡 최고경영자(CEO) 명의로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매출 전망치를 애초 890억∼930억달러에서 5~9% 낮춘 바 있다. 쿡 CEO는 "중국 등 중화권 경제 감속의 규모를 예측하지 못했다"고 실토했다.

차이나 쇼크는 애플 외 다른 기업들도 이미 경험하고 있다. 인텔은 지난해 4분기 매출이 187억달러로 전 분기보다 소폭 줄었고 시장 기대치에도 미치지 못했다. 미국 자동차회사 포드는 중국 합작사 판매 대수가 50% 이상 급감하면서 차이나 쇼크의 악몽에 시달렸다. 월가에서는 "이번 주는 매우 무거운 발걸음을 걷는 주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오는 30일 류허(劉鶴) 중국 부총리가 무역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하는 가운데, 무역협상 결과에 대한 전망도 불투명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계속해서 "중국과 큰 진전이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세부적인 협상 내용은 불확실하다.

이런 가운데 미국 법무부는 이날 중국 최대 통신장비 제조사 화웨이와 자회사 두 곳, 화웨이의 부회장 겸 최고재무책임자 멍완저우(孟晩舟)를 기소했다. 미 법무부는 이들이 미국 경쟁사의 기업 비밀을 훔치고 미국의 대(對) 이란 제재를 위반해 금융 사기 등을 저질렀다고 기소 이유를 밝혔다. 미국 두 개 주에서 각각 다른 혐의들을 적용해 따로 기소했는데, 뉴욕주 브루클린에서는 화웨이와 자회사 두 곳, 멍완저우 부회장을 사기와 대이란 제재 위반 등 13개 혐의를 적용해 기소했다. 워싱턴주에서는 화웨이가 미 이동통신사 티모바일의 기밀을 훔치고 경쟁사에서 기술을 빼내온 직원에게 보너스를 준 혐의 등 10개 혐의를 적용해 기소했다.

앞서 캐나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미국의 요청에 따라 멍 부회장을 체포했고, 지난 22일 미 법무부는 멍 부회장에 대한 신병 인도를 요청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번 기소 건으로 긴장감은 다시 커질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행정부는 화웨이 문제가 무역협상과는 별개라고 말하고 있지만 무역협상에서 교섭용으로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고, 미 행정부 내에서 여전히 중국과의 무역협상 방향에 대해 이견이 있다고 보도했다. 최근 중국은 미국 측에게 농산물 수입량을 늘리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여전히 백악관 내 강경파들은 중국 경제의 구조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뉴욕 김은별 특파원 silverstar@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뉴욕 김은별 특파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