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인상' 해도 '한은 동결' 우세…'자본 유출 확률도 낮아'

연준 19일 기준 금리 인상 유력, 내년에도 두차례 인상 전망 한은은 국내 경기 하방 압력 때문에 기준금리 동결 우세 기준금리, 미국이 한국보다 높아도 자본 유출 확률은 낮아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2월에 이어 내년에도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지만, 한국은행은 내년까지는 금리를 동결 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또한 과거 한·미 금리차 역전 시기 때 나타난 현상에 비춰보아 미국에서 금리를 인상한다고 해도 급격한 자본 유출은 없을 것이라 예상했다.시장에선 18~19일(현지시각) 열리는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이 경우 미국 기준금리는 2.25~2.5%로 우리나라(1.75%)보다 0.5~0.75%포인트 높다. 관건은 내년에도 미국 연준이 최대 두 차례 금리 인상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한국 경기전망 우려…내년도 기준금리 인상 어려워 이론적으로 세계 최대 규모 자본시장인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달러 자산의 수익성이 다른 통화 자산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져 글로벌 투자가 미국으로 몰리기 쉽다. 한국은행도 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면 자본 유출을 우려해 금리차가 너무 벌어지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한미 금리차를 줄이기 위해 금리 인상(0.25%)을 단행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그러나 전문가들은 내년에 미국이 금리를 올린다고 해서 한국도 따라 올리긴 쉽지 않을 것이라 예측했다. 우리나라 경기 전망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2% 중반대의 내년도 경제성장률 예상치와 미·중 무역갈등 지속, 반도체 수출 둔화, 최저임금 10.9% 인상 등 우리 경제를 둘러싼 여건이 올해보다 더 악화되며 기준금리를 올리기 쉽지 않을 것이란 의미다. 이미선 하나금융 투자연구원은 "지난 11월 기준금리 인상을 마지막으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싸이클은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다"며 "한국의 경제 성장률은 2.4%로 둔화되고 수출 증가율은 금년 8%내외에서 3%대로 하락할 것"이라 예상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월 3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친 뒤 기자간담회 하고 있다. 이날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기존 1.50%에서 1.75%로 0.25% 올렸다./강진형 기자aymsdream@

◆외국인 채권 투자, 한미 기준 금리차 영향 미미…국가 리스크 따라 좌우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자본 유출 가능성도 낮게 봤다. 부국증권이 발간한 '2019 채권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을 제외하고 2000년 전후로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았던 적은 두 번 있었다. 미국 IT버블 과열 시기였던 1999년 6월부터 2001년 3월까지가 첫번째 였다. 당시엔 외환위기 직후라는 특성이 반영돼 채권 자본이 순유출(-24억달러)됐다. 그러나 주택 버블 과열 시기였던 2005년 8월부터 2007년 9월까지는 달랐다. 오히려 293억 순유입을 기록했다. 당시 원화 강세, 물가 안정 등 경제 펀터멘탈이 안정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미선 부국증권 투자연구원은 "2005년 한미 금리 역전 이후 앞서 유출된 자본도 3개월만에 회복됐다"며 "과거 사례를 보면 이번 한미 금리 역전에 의한 자본 유출 우려가 크지 않다"고 밝혔다. 이번 한미 기준 금리 역전은 올해 3월부터 시작됐다. 연준이 9월까지 금리를 세차례 인상하며 0.75%포인트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내년에 연준이 추가 인상시 1%포인트까지 격차가 벌어질 전망이다. 한국은행도 지난 7월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외국인의 채권투자 결정요인 변화 분석’ 보고서를 통해 2008년 이후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는 외국인의 우리나라 채권 투자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들어 미국 금리가 우리보다 높은 ‘금리 역전’ 상황이 조성됐지만 외국인 자금 이탈 가능성은 낮다는 주장을 뒷받침 하는 근거다. 유복근 한은 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위기 이전엔 차익거래 유인이, 위기 이후엔 글로벌 및 국가 리스크가 채권투자 유입을 결정하는데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심나영 기자 sny@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