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人] 김현미 장관 '집값 불면의 밤', 부동산 종합처방 묘수는…

평민당 입당 후 정치 경험 30년, 대변인으로 이름 날려…文대통령 발탁, 장관 자리에 올라 부동산 해법 고심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아버지가 집에 가두면 슬리퍼 차림으로 담을 넘었다."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81'은 운명을 바꿔놓은 숫자다. 81학번으로 연세대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한 그는 광주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접한 뒤 학생운동의 길에 들어섰다. 어렵게 가르쳐 남들이 부러워하는 대학에 진학시켰는데 학생운동에 매진하는 모습을 보는 부모의 마음은 편치 않았다. 하지만 딸의 의지를 꺾지 못할 것이라는 건 부모가 더 잘 알고 있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1980년대 '일그러진 한국 현대사'는 결코 미워할 수 없는 수많은 '불효자'를 양산했다. 김 장관도 시대의 아픔을 외면할 수 없었던 1980년대 청춘들과 함께 아스팔트 열기와 매캐한 최루가스 가득한 공간에서 대학 시절을 보냈다. 26세의 어린 나이에 평화민주당 당직자가 된 것도 세상에 대한 변화를 꿈꿨던 대학 시절의 열망이 반영된 결과다.1988년 입당했으니 김 장관의 정치 경력은 30년에 이른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7선 국회의원)가 김 장관과 평민당 입당 동기다. 김 장관을 설명할 때 언론은 빼놓을 수 없는 존재다. 그는 정당 대변인(부대변인), 청와대 국내언론비서관 등 정치인생의 상당 기간을 언론과 호흡하며 생활했다. '원정 출산' '수첩 공주' 등은 김 장관이 대변인 시절 만들어낸 작품이다.대변인으로 더 유명했던 정치인 김현미를 현재의 자리에 올려놓은 인물은 문재인 대통령이다. 문 대통령이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를 지내던 시절 김 장관을 비서실장에 발탁한 것은 정무적 감각과 기획 능력, 언론 홍보 전문성 등을 두루 살핀 결과다. 김 장관은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해 6월 사상 첫 여성 국토부 장관 자리까지 올랐다.최근 이뤄진 중폭 개각을 앞두고 김 장관이 교체 대상자로 거론되지 않았던 것도 문 대통령의 두터운 신임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김 장관의 어깨는 더 무겁다. '실세 장관'이라는 평가는 양날의 검이다. 권한의 무게 만큼 책임도 클 수밖에 없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부동산시장 과열 흐름이 이어지면서 김 장관은 뭇매를 맞고 있다. 문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도가 50% 밑으로 떨어진 것은 부동산 정책을 둘러싼 실망감이 반영됐다. 믿음을 토대로 중책을 맡긴 문 대통령에게 미안할 수밖에 없는 장면이다."집값이 오르는 게 제일 마음 아프다. 잠도 잘 못 잔다." 지난 5일 김 장관이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를 만나 전한 얘기는 부동산시장을 둘러싼 그의 고민이 녹아 있는 발언이다. 서울, 과천, 분당, 하남 등의 올해 아파트 값 상승률은 상상 그 이상이다. 지난해 8·2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이후 시간이 지나면 집값이 안정될 것이란 김 장관의 계산은 빗나갔다.굳이 집값 안정(?)을 이뤄낸 곳을 꼽자면 경기도 고양시 일산이다. 김 장관 지역구인 일산은 '나 홀로' 부동산 한파를 경험하고 있다. 아파트 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은커녕 더 떨어지지만 않으면 좋겠다는 자조섞인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김 장관 역시 서울 집값 얘기가 나올 때마다 "일산 와서 살라"는 농담을 하기도 한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일산 서우과 동구의 아파트 값은 지난해 8·2 부동산 대책 발표 후 각각 2.1%, 1.8%씩 떨어졌다. 반면 서울의 평균 아파트 값은 같은 기간 7.3% 올랐다.
김 장관은 엉킨 실타래처럼 꼬인 부동산시장의 해법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서울을 중심으로 한 과열 흐름을 잠재우고 지방의 부동산 침체를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 부동산 안정을 위한 '묘수'를 찾으려면 지난 시간에 대한 복기가 필요하다.김 장관은 지난달 31일 일부 국토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임대등록 세제 혜택이 과하다"는 메시지를 내놓으면서 논란을 자초했다. 정부 정책의 일관성에 의문이 제기된 결정적인 계기였다. 김 장관이 언론 홍보 전문가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뼈아픈 실책이다.김 장관에게 아직 기회는 남아 있다. 좋은 정책을 내놓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실행력을 확보하는 일이다. 정부가 내놓을 부동산 종합대책이 연착륙하려면 국회 특히 야당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김 장관이 30년간 다진 경험을 토대로 야당의 협조를 끌어낼 정치력을 발휘한다면 '집값 불면증'에서 스스로 벗어날 길이 열릴지 모른다.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