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벨을 논하다]협의체 구성…신속·투명·객관

관련 협의체 통해 새로운 접근법 논의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최근 오프라벨(허가외 처방) 논란이 뜨겁다. 오프라벨로 생의 마지막 끈을 잡고 있던 말기 암환자의 경우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다. 지난달 21일 면역 항암제인 '키트루다'와 '옵디보'의 건강보험 적용이 시작됐다. 건강보험이 적용되면 그만큼 환자의 부담은 줄어든다. 반길 일이다. 문제는 보건당국이 급여적용을 하면서 허가한 적응증 범위가 지나치게 좁다는데 있다. 보험적용이 되면서 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허가한 범위(비소세포폐암 환자) 내에서만 가능하다. 위암과 유방암 환자들은 '키트루다' 등 면역 항암제를 오프라벨로 처방받을 수밖에 없다. 최근 병원에서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거부하는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 오프라벨 문제, 과연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함께 고민해 본다.[편집자 주]<hr/>말기 암환자들의 오프라벨 관련 민원이 계속되자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이 문제 해결을 위해 관련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방침을 정했습니다. 협의체를 통해 오프라벨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하자는 것입니다. 이병일 심평원 약제관리실장은 최근 "오프라벨 처방에 대한 논의를 하기 위해 조만간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협의체는 복지부, 심평원, 의료인 단체, 환자단체, 시민단체 등의 관계자가 참여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협의체 구성을 두고 몇 가지 논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4기 전이암과 싸우고 있는 임 모씨는 "협의체를 구성해 관련 사안을 논의하자는 것에는 환영한다"며 "다만 환자단체 대표를 포함시킨다고 하는데 특정 단체의 특정 인물이 돼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오프라벨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관계자가 반드시 참여해야 된다는 주장입니다. 현재 복지부 등은 환자단체 대표로 특정 인물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임 씨는 "지금 거론되고 있는 특정 환자단체 관계자는 오프라벨과 직접적 관계가 없는 인물"이라며 "복지부가 오프라벨에 대한 구체적 상황을 듣기 위해서라면 오프라벨 민원을 제기하고 있는 관계자들과 이야기를 먼저 나눠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습니다. 두 번째는 신속성입니다.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은 좋은데 연말 등 시간을 끌게 되면 가뜩이나 기다림에 지친 말기 암환자들에게 또 다른 고통만 줄 뿐이라고 토로했습니다. 임 씨는 "지금도 치료 방법이 막막해 답답한 심정으로 가득차 있는 게 말기 암환자의 실정"이라며 "정책에도 우선순위가 있듯이 협의체 구성을 신속하게 만들어 빠른 시간 안에 대책을 내놓았으면 좋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여기에 투명성과 객관성도 담보돼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임 씨는 "그동안 의료 정책이나 혹은 여러 제도를 보면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이들도 모르는 상황에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번 오프라벨 협의체는 이런 시스템에서 벗어나 모든 것을 공개하면서 투명성과 객관성을 담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