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근 의원 '의무설치기관에 없고 일반인 사용 매우 낮아'
▲지하철에 설치된 AED.[사진=아시아경제DB]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심정지 사례는 늘어나고 있는데 응급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AED)'의 사용은 정체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ED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기관도 구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국민들은 AED가 무엇인지,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고 있는 사례가 많았다. 관리도 부실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 동안 심정지 사고는 늘어가고 있는 반면 일반인의 'AED' 사용률은 수년째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내년도 AED 설치 지원예산도 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5년 동안 심정지 발생 건수는 총 13만8844건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11년 2만4902건, 2012년 2만6531건, 2013년 2만8170건, 2014년 2만9282건, 2015년 2만9959건으로 조사됐다. 성별로는 남자(8만9207건, 64.2%)가 여자(4만9637건, 35.8%)보다 약 1.8배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55.4%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지난해 인구 10만 명당 심정지 발생현황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제주가 68명, 강원 60.9명, 충남이 53.4명, 전남과 경북이 각각 51.8명, 경북 51.8명, 충북 51.2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인구 10만 명당 심정지 발생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로서 37.6명을 기록했다.발생장소별로는 가정 등 '비공공장소'가 65.8%의 비율을 차지했다. '공공장소' 20.1%, '미상' 11.2%, '기타' 3.0% 순이었다. 심정지 발생에 따른 사망률은 90.1%로 하루 평균 68.6명이 심정지로 사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구급대원을 제외한 일반인의 AED 사용은 매우 낮았다. 최근 5년 동안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은 전체 심정지 13만3844건 중 1만2850건으로 9.3%에 불과했다. 이 중 AED 사용률은 2011년 5건, 2012년 12건, 2013년 19건, 2014년 30건, 2015년 26건 등 매년 30건 미만의 저조한 수치를 보였다. 이는 5년 동안 전체 심정지 건수의 0.07%를 수준이다. 의무설치기관의 설치 비율도 낮았다. 지난해 기준 AED 의무설치기관은 총 1만2319곳으로 이중 AED가 설치되지 않은 곳은 37.2%에 해당하는 4580곳에 달했다. 인구 대비 AED 보급률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미국의 경우 AED 1대 당 인구수는 약 133명, 일본의 경우 약 289명이었는데 우리나라의 AED 1대당 인구수는 무려 약 3503명에 달했다. 저조한 인식률도 문제였다. 우리나라 국민의 68.7%는 AED를 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51.9%는 AED 사용과 관련한 홍보를 접한 바 없었다고 밝혔다. 76.7%는 사용법 등에 대한 교육을 받은 사실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설치된 AED의 관리부실도 지적됐다. 2016년 상반기 기준 지역별 보건소의 AED 불량률은 3.3%%로, 지난해 불량률 2.3%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 보건복지부의 AED 관련 2017년도 예산안은 11억1300만 원으로 올해 예산인 12억3700만 원에 비해 1억2000만 원 이상 줄어들었다.인재근 의원은 "유럽의 심폐소생 생존율은 평균 9%로 우리나라 보다 약 두 배가량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며 "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생존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AED의 보급을 확대하고 대국민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관련 교육을 재정비하는 등 정부차원이 노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