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銀, 기술금융 '양보다 질' 체질개선

2년 만에 시중은행 기술신용대출 누적 잔액 첫 감소…만기 앞둔 기업 '기술 재평가' 실시

[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국내 주요 시중은행의 기술신용대출(기술금융) 누적 잔액이 도입 2년 만에 처음으로 줄었다. 은행권이 기술금융 확장기를 거쳐 본격적인 체질 개선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20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KB국민ㆍ신한ㆍ우리ㆍKEB하나 등 4개 시중은행의 기술금융 잔액은 총 42조71억원(누적 기준)으로 앞서 5월 집계된 잔액(42조451억원)보다 380억원 감소했다. 시중은행의 기술금융 잔액이 감소세를 보인 것은 2014년 7월 도입 이후 처음이다.각 은행 별로 보면 우리은행 대출 잔액이 2988억원이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고 신한은 500억원, KB국민은 303억원 각각 줄었다. KEB하나의 경우 유일하게 3411억원 늘어 전체 감소폭을 줄였다. 시중은행 기술금융 잔액이 줄어든 주 요인은 일부 기술 재평가를 거치지 않은 기업의 대출액이 누적 총액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금융 당국은 기술금융을 통해 대출을 받아간 기업 중 2분기 내 만기가 돌아오는 곳에 대해 지난 6월 말까지 기술신용평가기관(TCB)을 통한 기술 재평가를 실시, 대출을 집행한 금융사에 기술평가서를 제출하도록 했다. 은행들은 이를 제출하지 않은 기업의 대출액을 지난달 기술금융 대출 실적 집계에서 제외시켰다. 무조건적인 대출 확장 대신 대상 기업에 대한 질적 관리에 나선 것이다.기술금융은 기존의 물적 담보대출과는 달리 기업이 가진 무형의 '기술력'을 평가해 이를 바탕으로 돈을 빌려주는 기업금융의 새로운 형태다. 때문에 기술의 시장성과 사업타당성 등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신기술을 보유했으나 규모가 작고 자금이 부족한 스타트업 기업 등이 주 대상이다. 금융 당국은 2014년부터 기술금융을 주요 금융개혁과제 중 하나로 두고 적극 추진하고 있다.대출을 집행하는 동시에 리스크 관리를 해야 하는 은행업의 특성 상 '보이지 않는 기술'을 담보로 대출을 집행하는 것에 대해 도입 초기 우려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스타트업의 경우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도 불확실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행 2년을 거친 현재 기술금융의 연체 비율은 일반 중소기업 대출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다는 것이 전반적인 평가다.국책은행을 비롯한 특수은행과 지방은행까지 포함한 전 금융권 기술대출 잔액은 77조2655억원이다. 이 가운데 기업은행이 20조7743억원을 차지해 기술금융 대출 규모가 가장 크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