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랑에 빠진 조선업] 사무직은 추풍낙엽…노조는 철옹성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현대중공업이 지난해에 이어 '2차 인력감축'에 돌입할 태세다. 조선업계에서는 구조조정 인력이 최대 3000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감원 대상은 사무직 과장급 이상과 계약·파견직, 생산직 기감급 이상 비노조원이 거론되고 있다. 이번에도 대부분의 생산직은 구조조정 대상에서 제외됐다. 지난해 1월 노사 갈등을 촉발한 인력 감축(1300여명) 역시 과장급 사무직 직원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국내 조선업계가 실적 악화 속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지만 인력 감축은 사무직을 중심으로만 진행되고 있다. 생산직은 애초부터 대상에서 제외되는 모양새다. 지난해 10월 진행된 대우조선해양의 희망퇴직과 삼성중공업의 상시 희망퇴직도 사무직 직원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사무직만 구조조정의 표적이 돼 역차별을 받고 있는 것이다.
생산직과 사무직을 포함한 조선 '빅3'의 직원수는 대략 5만3000명에 달한다. 이 중 현대중공업 생산직이 1만6~7000명, 대우조선해양이 7000명, 삼성중공업이 6000명에 이른다. 각각 전체 직원수에서 60%, 58%, 42% 가량을 차지한다. 전체 직원의 절반 수준을 차지하고 있지만 인위적 구조조정 대상에는 항상 제외돼왔다.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노동조합 여부다. 3사의 생산직은 노동조합 혹은 노동자협의회의 형태로 노조를 갖고 있다. 사측과 임금 등을 협상하는 대표 주체다. 하지만 사무직은 노조에 가입돼있지 않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1월 사무직 구조조정 이후 사무직 노조를 만들었지만 대표성이 없어 유명무실한 상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회사에서는 공동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현장 생산직 근로자보다 사무직에게 더 날카로운 구조조정의 칼날을 들이댄다. 구조조정 여파가 선박 건조에까지 영향을 주지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이기도 하다. 파업을 우려하는 것이다. 현대중공업의 경우 작업을 하루 중단할 경우 80억원 가량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회사가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수주한 물량을 차질 없이 인도하는 것도 중요하다. 업계 관계자는 "공장이 하루 멈추는 것은 인건비를 줄이는 것보다 더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며 "직원들이 동요해 파업으로 이어진다면 인력감축을 통한 인건비 절감보다 더 큰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