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자산 차익 실현…현금성 자산·안전자산 비중 늘릴 때'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위험자산 가격상승에 따른 차익을 실현하고 현금성 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중을 늘릴 때라는 분석이 나왔다. 시장 친화적 통화정책이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며 위험자산 랠리를 이끌었지만, 심리 개선에만 의존한 자산가격 상승은 지지력이 약하고 지속 기간도 짧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28일 대신증권은 앞으로 위험자산 가격상승을 정당화할 수 있을 만한 펀더멘털의 호전이 뒤따르지 못한다면 2월부터 진행된 위험자산 가격상승에 유의해야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박형중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수년 동안 경험했던 것과 같이 통화정책만으로는 실물경기를 진작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통화정책이 자산가격을 부양하는 효과도 비전통적인 통화정책이 도입된 초기만큼 강하지도 않다"고 진단했다.더욱이 최근에는 마이너스(-) 금리도입이 가져올 수 있는 불확실성이 경제주체들의 차입의지를 약화시키고, 금융기관의 대출이 줄어드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상황은 금융기관의 신용창조 기능이 약화되고 있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완화적 통화정책의 강화가 금융시장의 유동성 확장 또는 지속적인 자산가격 상승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내수부진과 수출 감소 등으로 인한 성장성 둔화, 신흥국의 높은 부채 레버리지 등 신흥시장이 안고 있는 위험 역시 여전하다는 평가도 내놨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신흥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득감소, 부채상한 압력 증가로 소비여력이 훼손되고 있다"며 "과잉생산 문제도 여전해 기업들은 투자에 나서지 않고 있고 이 때문에 수출환경도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위험자산 선호보다는 회피구간에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신흥국이 당면한 문제들은 선진국의 통화정책 완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연기만으로 해소되기 어려운 것들"이라며 "2분기에는 중국의 통화정책 변화 가능성,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재부각 위험, 브렉시트 불확실성 등 1분기와는 다른 리스크 요인들이 기다리고 있다"고 강조했다.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