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한국인의 당뇨병 발병 원인이 최초로 규명됐다. 25일 서울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온정헌·곽수헌·박경수 교수팀과 아주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조남한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은 인슐린 분비능력이 떨어져 당뇨병에 걸린다는 연구 결과를 점이 당뇨병 발병에 큰 원인이는 결과를 최고 권위 학술지인 '란셋 당뇨병, 내분비학‘(Lancet Diabetes & Endocrinology)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안성과 안산에 거주하는 성인 중 정상 혈당을 보이는 4106명을 2001년부터 2012년까지 10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2년마다 대상자에게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실시, 인슐린 분비능력과 인슐린 감수성의 변화를 분석했다. 인슐린은 혈액 속 포도당을 세포 속에 넣어서 에너지원으로 쓰이게 한다. 이런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가 '인슐린 감수성'이다. 어떤 이유로 우리 몸이 인슐린의 자극에 둔감해져 포도당이 세포 속에 원활히 못 들어가는 경우를 ‘인슐린 감수성 저하(인슐린 저항성 증가)’라고 하는데 이런 경우 혈중 포도당이 증가해 제2형 당뇨병이 올수 있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당뇨병은 12%(498명)에서, 당뇨병 전단계는 27%(1,093명)에서 나타났다. 61%(2515명)은 정상 혈당을 유지했다.정상 혈당그룹은 10년 동안 인슐린 감수성이 27% 감소했지만, 인슐린 분비능력은 70% 증가했다. 반면 당뇨병 발병 그룹은 정상 그룹에 비해 처음부터 인슐린 분비능력이 38%, 인슐린 감수성도 17% 낮았다. 또한 10년 동안 인슐린 감수성이 64%나 감소했지만, 인슐린 분비능력은 증가하지 않았다. 정상그룹은 나이가 들면서 인슐린 감수성이 떨어져서 포도당이 세포에 원활히 들어가지 못했지만,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량을 늘려서 정상 혈당을 유지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당뇨병 그룹은 인슐린 감수성 저하에도 이를 상쇄할 만큼 인슐린 분비를 늘리지 못해 당뇨병이 발생한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당뇨병 발병 환자 중 38%가 인슐린 분비능력의 저하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슐린 분비능력의 저하는 유전적 원인에 의해 일부 결정되는데,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에 관여하는 포도당인산화효소(glucokinase)의 유전자 변이가 가장 큰 원인으로 밝혀졌다. 박경수 교수는 “한국인을 포함한 동양인은 서양인과 달리 비만하지 않아도 당뇨병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번 연구로 한국인에서는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력의 저하가 당뇨병 발생의 주된 역할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