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징용'시설 유네스코 등재 문제, 한·일 '평행선'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과 관련해 우리 정부는 "조선인 강제 징용 사실을 반영하는 형태가 돼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한-일 간 협의가 평행선을 그리며 견해차만 확인했을 뿐이다. 22일 일본 도쿄 외무성 청사에서 일본 근대시설 유네스코 등재와 관련해 한-일 정부간 회의가 처음 열렸다. 최종문 외교부 유네스코 협력대표는 일본 측 수석대표인 신미준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과 만나 3시간 가까이 이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한국 정부는 산업시설에서 이뤄진 조선인 강제노동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는 형태로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설사 등재가 되더라도 징용의 역사가 등재 과정에서 명시돼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번 협의에서는 세계유산 등재 결정문에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방안이 논의됐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세계유산위원회가 개최돼 세계유산 후보에 대한 안건이 상정되면 위원국들은 결정문의 초안을 가지고 논의하는데, 이 과정에서 위원국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얻으면 수정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있다.하지만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정례 기자회견을 통해 "유네스코에서 권고가 그대로 실현되기를 바란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양국은 이 문제에 대해 계속 협의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등재 여부가 결정될 때까지 양측이 세계유산 위원국을 상대로 설득작전을 펼치게 될 것이란 예상이다. 최근 일본이 신청한 23개 근대산업시설에 대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산하 민간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등재권고' 결정을 내렸다. 이 중 7곳은 조선인이 강제징용된 시설로 수만명이 동원돼 94명이 목숨을 잃었다. 등재 여부는 올해 6월28일~7월8일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가 열리는 독일 본에서 결정된다.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문화레저팀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