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檢수사 더 이상 신뢰 어렵다…특검 도입해야'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은 14일 청와대 문건을 유출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은 서울경찰청 정보1분실 최모 경위가 자살한 것과 관련, "검찰 수사는 더 이상 신뢰하기 어렵게 됐다"며 국회 차원의 진상 조사와 함께 특별 검사의 도입을 촉구했다.김성수 새정치연합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최모 경위가 유서에 남긴 '너무 억울하다'는 사정이 문건 유출에 전혀 관여한 사실이 없다는 것인지, 문건을 갖고는 있었지만 유출한 사실은 없다는 것인지, 상관의 지시에 따라 움직였을 뿐이라는 것인지 아직은 파악하기 어렵다"면서도 "한 사람을 죽음으로까지 내몬 데에는 그럴만한 충분한 사정이 있었을 게 분명하다"고 밝혔다.김 대변인은 또 "우리는 최 경위가 '검찰도 누가 지시하느냐. 결국은 모두 위에서 지시하는 것 아니냐? 퍼즐 맞추기라고 했다'는 유족들의 말에 주목한다"며 "검찰은 강압이 없었다고 하지만 최 경위가 윗선의 지시에 의한 짜 맞추기 수사라고 믿을 만한 정황이 있었음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이어 "검찰은 지난 3일 최 경위의 집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고 9일 체포한 뒤 10일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등 최 경위를 강하게 압박했지만 구속영장은 기각됐다"면서 "이는 검찰이 속전속결해야한다는 초조함에 무리하게 수사하고 영장을 청구했다는 반증"이라고 주장했다.서영교 새정치연합 원내대변인은 "검찰의 앞뒤 안 가린 속도전이 부른 참극"이라며 "비선실세의 국정농단 사건은 문건 유출이 아니라 내용의 진위가 더 중요하다는 것인데 문건의 진위와 관련해서는 거북이수사가 진행되고 있고, 문건 유출만 LTE급으로 수사가 진행됐다"고 말했다.서 원내대변인은 "대통령 기록물인 정상회담 회의록을 유출했어도 아무 일 아닌 것처럼 벌금 500만원에 약식 기소한 검찰"이라면서 "역설적으로 대통령마저 찌라시고 루머일 뿐이라며 폄하한 청와대 문건유출이 무엇이 그리 다급해 속도전을 낸 것인가"라고 반문했다.아울러 "대통령 말 한마디에 검찰이 결론을 미리 내놓고 폭풍수사, 압박수사한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며 "문건 유출 수사는 비선실세의 국정개입과 국정농단이 있었는지 사실관계를 파악한 후 속도를 내도 상관없다. 검찰이 또 다른 무리수를 두지 않길 바란다"고 덧붙였다.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