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2금융 진출한 日 기업, 균형 있게 지켜봐야

[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최근 저축은행과 대부업에 일본계 자본이 침투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국부유출 우려 논란으로 업계가 연일 시끄럽다. 우리나라에서 번 돈을 일본으로 빼내 간다는 것인데 2금융권의 고금리와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에 대한 이미지가 유달리 부정적 시너지를 내고 있다. 하지만 균형 있는 시각이 필요하다.한국 금융권은 이미 외국계 자본이 잠식하고 있다. 금융정보분석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 중 우리금융지주를 제외한 신한(67.69%)·KB(68.07%)·하나(70.04%)금융지주의 외국인 주주 지분율은 모두 70%에 육박한다. DGB금융지주의 외국인 보유 비중은 77.72% 달한다. 한 때 KB금융지주의 최대주주는 네덜란드 국적의 ING그룹(ING BANK N.V.)이었던 적이 있고, BNP파리바그룹이 신한금융지주 지분을 가장 많이 갖고 있기도 했다. 보험업계에도 외국계 회사들로 넘쳐난다. 라이나·알리안츠·푸르덴셜 생명, AXA손해보험 등이 모두 외국계 보험사들이다.그러나 유독 저축은행과 대부업에 진출한 일본계 회사들에 대해선 소비자들의 시선이 싸늘하다. 우선 2금융권의 높은 대출금리가 눈엣가시다. 2금융권은 시중은행에서 대출이 어려운 사람들을 대상으로 대출을 해주기 때문에 금리가 은행보다 높을 수 밖에 없지만 그래도 너무 높다는 불만이 팽배하다. 또 다른 이유는 역사 분쟁 때문에 가까워 질 수 없는 일본에 우리 국민이 갖고 있는 정서적 반감이다.2금융권에 진출한 일본계 회사들은 업계에서도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저축은행 사태 당시 현대스위스저축은행 유상증자를 통해 최대주주가 된 후 사명을 바꾼 SBI저축은행은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저축은행의 손실을 크게 줄였다. 최근엔 신입사원 모집에도 나섰다. 미래저축은행을 인수한 J트러스트는 당시 구조조정 없이 저축은행 직원들을 그대로 고용했다. 국내에서 번 돈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것에 대한 감시와 감독은 필수적이다. 다만 건전한 영업을 토대로 한다면 이를 객관적으로 지켜볼 필요는 있다. 돈에는 꼬리표가 없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