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동부제철 경영정상화 '사실상 노란불'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동부제철 경영정상화 작업이 채권단 중심의 관리 체제로 본격 접어들었다.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이 떠난 대표이사 자리에는 채권단의 요청에 따라 김창수 부사장이 선임됐다. 이제 동부제철 경영정상화 성공여부는 채권단의 손에 달린 셈이다. 현재까지는 순항하는 듯 보인다. 경영정상화 방안에 담긴 이행계획도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 동부제철과 경영정상화 이행협약(MOU)를 체결한 직후에는 3000억원 규모의 신규 자금이 지원됐다. 대주주 100대1, 일반주주 4대1의 차등감자와 530억원 규모의 출자전환은 내년 정기 주주총회 이전까지 순차적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동부제철은 일련의 절차를 거치게 되면 유동성 위기에서는 일단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유동성 위기를 해소하는데 그치지 않고 경영상태를 정상궤도에 올리기 위해서는 '인천공장 매각'이라는 큰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1조원 규모의 인천공장을 제값에 파는 작업은 동부제철 구조조정의 핵심이기도 하다. 동부제철 구조조정이 파란불인듯 보이지만 사실은 노란불에 머물러 있는 셈이다. 인천공장 매각은 지난 6월 동부발전당진과의 패키지 매각에 실패한 이후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당시 패키지 매각은 채권단 주도로 이뤄졌다. 채권단은 포스코에 인수자금 지원카드까지 내밀며 인수를 권유했지만 포스코는 재무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결국 거절했다. 석 달 가량 진행된 패키지 매각 협상이 성과 없이 마무리되자 일각에서는 채권단의 '밀어붙이기식' 매각 진행이 문제였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동부제철 채권단은 '패키지 매각'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 인천공장 매각에 진척이 없는 것은 인수희망자가 선뜻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철강업계의 오랜 불황과 높은 매각가와도 맞물려 있다. 하지만 시장상황이 좋지 않았다는 말만 더 이상 되풀이 할 순 없다. 노란불이 적색등으로 바뀌지 않으려면 채권단이 먼저 적극적인 액션을 취해야 한다. 실패에 대한 책임은 고스란히 채권단의 몫으로 돌아갈 것이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