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박물관이 불법 취득한 도굴 '지석' 558점 회수

조선개국공신 경주 김씨 '계림군 김균(1341~1398년)' 지석, 사각백자에 청화로 새긴 글씨.

한성부 판윤 풍양조씨 '조동면(1867~1903년)' 지석, 원형의 백자에 청화로 새긴 글씨.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전국에 산재한 93개 문중의 분묘에서 도굴된 '지석'(誌石) 558점이 회수됐다. 이는 한 사립박물관이 불법으로 취득해 보관하고 있던 것이다. 지석은 '죽은 사람의 성명·생몰연월일·행적·무덤의 위치 등을 기록하여 무덤 앞에 묻는 판석 또는 도판(陶板)'을 뜻한다.문화재청과 서울지방경찰청은 공조 수사를 통해 매장문화재 지석을 다량으로 불법취득·보관하고 있던 사립박물관을 압수수색해 이같이 회수했다고 28일 밝혔다.수사 결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산운동에 있는 풍산군 이종린 분묘의 지석 8점을 포함한 379점은 피의자 이 모씨가 도굴꾼으로부터 불법으로 취득한 것이었다. 2002년 이씨가 죽자 그의 가족이 조 모씨 등 2명을 통해 2003년 6월부터 8월까지 2회에 걸쳐 한 사립박물관에 매매했다. 이 사립박물관장인 권 모씨의 개인 수장고에 보관된 지석을 압수 수색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또 다른 자로 부터 취득한 179점의 지석도 확인됐다. 도난 공고한 도굴·도난 문화재의 경우, 공소시효에 상관없이 양도·양수·운반 등의 행위 일체가 문화재보호법에 근거하여 처벌될 수 있다. 이번에 회수된 지석은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 광범위한 기간에 걸쳐 제작된 것으로, 재료와 형태 등에서 다양성을 보이고 있으며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기록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이 중 10점의 주인공인 '박린'(朴璘, 1547~1625년)은 사헌부감찰, 이천현감, 검찰종사관, 개성부도사를 역임한 이다. 서예에 능했고, 산수·궁마(弓馬)까지 통달했으며, 사후에 이조판서의 벼슬이 올려졌다. 이 지석들은 지봉 이수광(1563~1628년)이 말년에 지은 것으로, 17세기 초 지석의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청화의 수급이 어렵자 철화안료로 글씨를 썼으며 지석의 재료인 흙도 고령토가 아닌 점과 글씨의 서풍이 선조 시대 이후 유행한 한석봉체이다. 이러한 점은 16세기 지석과 달라지고 이후 18세기 지석과 차별되는 점으로서 국난의 시기에 만들어진 의례용품의 사정을 잘 보여주는 자료라 할 수 있으며, 시대의 스승으로 평가받는 실학자 이수광의 문장을 볼수 있어 가치가 높다.세조부터 성종시대에 이르는 동안 종사관, 사간원대사간 등을 역임한 김극뉴(金克?, 1436~1496년)의 5점 지석은 유자광(1439~1512년)이 지은 것이다. 유자광은 문집도 남아있지 않아 자료의 희소성도 지니고 있다. 지석의 서풍은 '한호지석'과 조금 다른, 왕희지체를 따랐지만 투박하며 다른 지석과 달리 가로로 눕혀 쓴 점도 눈길을 끈다.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