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泥 지열 활용 다시 박차, 최대발전소 착공

[아시아경제 백우진 기자] 인도네시아가 지열 에너지를 활용해 발전하는 사업에 다시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지열 에너지는 다 뽑아내면 전력 29기가와트로 바꿀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1기가와트는 일반적인 원자력 발전소 1기의 발전용량이다. 29기가와트는 5억 가구가 쓸 수 있는 에너지에 해당한다. 인도네시아 인구 2억5000만명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몇 배에 이른다.
인도네시아는 천연가스와 원유를 생산하지만 원유를 순수입한다. 경제 발전에 따라 산업용ㆍ가정용 전력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열 에너지는 지구가 존재하는 한 고갈되지 않는다. 또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 에너지다. 게다가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신재생 에너지처럼 전력 생산이 들쭉날쭉하지 않다. 지열 발전소는 24시간 전력을 공급한다. 더구나 지열로 만든 전기는 저렴하다. 이런 장점을 지닌 지열 발전소가 현재 인도네시아에 1132메가와트만 설치됐다. 1기가와트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열 발전 용량을 2025년까지 1만메가와트로 끌어올려 전체 전력의 12%를 담당하도록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열 발전소를 지금의 약 9배로 키운다는 것이다. ◆최근 세계 최대 규모 착공= 더디게 진척돼 온 인도네시아 지열 발전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기대가 일고 있다. 지난달 초 북(北)수마트라주에 세계 최대 지열 발전소 사룰라가 착공되면서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사룰라 지열 발전소는 16억달러가 투입돼 330메가와트 용량으로 건설된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16년에 1단계 공사를 끝내고 사룰라 지열 발전소에서 전력을 생산하기 시작할 예정이다. 2단계 공사는 2018년까지 마칠 계획이다. 이 지열 발전소가 가동되면 연간 130만t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효과가 기대된다. 보에디오노 인도네시아 부통령은 자카르타에서 열린 에너지 컨퍼런스에서 "인도네시아가 지열 슈퍼파워가 된다는 구상이 아이디어에 그치지 않고 현실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룰라 프로젝트는 1990년에 시작됐지만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때 중단됐다가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지원을 결정하면서 다시 추진력을 얻었다. ADB가 3억5000만달러의 차관을 제공하는 것을 비롯해 일본국제협력은행(JBIC)과 미쓰비시도쿄UFJ, 미쓰이 스미토모, 소시에테제네랄 등 6개 상업은행이 자금을 지원한다. 인도네시아 메드코 에네르기의 자회사인 메드코 파워 인도네시아가 사룰라 프로젝트 컨소시엄의 지분을 37.5% 갖고 있다. 일본 이토추와 규슈전력은 각각 25%를, 미국 오맛테크놀로지의 자회사인 오맛인터내셔널은 12.5%를 보유하고 있다. ◆ 보조금ㆍ구매단가 조정 관심= 얼마 전까지 지열발전 전망은 어두웠다. 자카르타 포스트는 지난해 7월 ‘인도네시아의 지열 꿈은 결코 현실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내보냈다. 자카르타 포스트는 인도네시아에서 2003년 지열법이 도입된 전후에 착수된 지열발전 프로젝트 중 30건이 답보 상태라며 토지 수용과 환경영향을 고려한 정부 승인 절차가 지연된 탓이라고 설명했다. 사룰라가 착공되면서 지열발전을 둘러싼 전망이 밝아졌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열발전 사업에 대한 지원제도 개선에 나섰다. 지열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차액보조금은 ㎾시당 지금보다 2배인 6센트로 높이기로 했다. 또 장기 계약일 경우 탐사비용을 조기에 회수하도록 지원금을 초기에 몰아서 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닛케이는 여기에 더해 현행 전력 구매단가를 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현재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열발전소가 대규모일수록 전력 구매단가를 낮춘다. 닛케이는 지열발전 사업이 자본집약적이고 석유 시추와 마찬가지로 성공한다는 보장이 없다며 현행 단가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다. 가격 시스템 개혁 외에 지나치게 분권화된 정치적 틀로 인해 사업 진척에서 김이 빠지는 것도 문제라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람풍지역에서 추진되던 220메가와트 용량의 지열발전소는 지역주민이 반발해 공사가 중단됐다. 이 발전소 건설은 일본 스미토모와 프랑스 전력회사 GDF 수에즈가 지원한 사업이다. 닛케이는 숲 보호를 위해 산림지역 시추를 금지한 2003년 지열법이 개정되면 큰 기회가 열릴 수 있다고 몬다. 인도네시아 숲은 보호구역과 보존지구로 지정돼 개발이 규제된다. 지열발전은 보호구역서만 허용된다. 보존지구에서는 불가하다. 그러나 지열에너지의 약 50%가 보존지구에 있다. 업계는 지열발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고 주장한다. 지열발전소는 다른 방식 발전소에 비해 지상 공간을 덜 차지한다. 하지만 진입로를 따라 사람들이 숲에 들어와 거주하면서 식생이 바뀌고 생태계가 변할 수 있다. 와양 윈두 지열발전소는 1.3㎢만 차지하고 있지만 길이 닦이면서 숲이 10㎢ 잠식됐다. 세계야생재단 인도네시아 지부의 안와르 푸르워토 숲 담당관 지역발전을 대체적으로 지지한다. 그는 그러나 “(법이 개정되더라도) 보존지구에서는 정부가 승인하기 전 개별 환경평가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자카르타 소재 뱅크 센트럴 아시아의 데이비드 새뮤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인도네시아가 초기 지열발전 프로젝트를 추진한 뒤 상당 시일이 지났다”며 “다음 정부의 정치적인 의지에 많은 것이 달려 있다”고 말했다. 백우진 기자 cobalt100@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백우진 기자 cobalt10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