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창업자 10명 중 3명 '성공할 것'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창업에 관심이 있는 청년 10명 중 3명만이 자신의 창업이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명 중 5~6명은 청년창업환경이 열악하다고 답변했다.창업실패에 대한 책임이 개인에게 귀착되지 않도록, 사회안전망을 구축해 청년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자신의 창업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28일 '청년창업지원정책 참여자의 창업 인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지난해 정부 청년창업지원정책 참가자 501명을 대상으로 창업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31.9%만이 자신의 창업성공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 의견을 내비쳤다. 부정적 의견은 24.8%를 기록했다. 가장 많은 43.3%는 성공이나 실패 가능성을 속단하기보다 유보적 태도를 나타냈다.청년창업지원정책 참여자 10명 중 6~7명은 현재 창업을 계획 중이며, 창업을 결심하는 데 가장 직접적 요인으로 창업정신(46.8%)을 꼽았다. 이어 창업성공에 대한 보상이 19.9%, 가족이나 자신의 재산이 11.8%로 뒤따랐다.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은 8.2%에 그쳤다. 보고서를 작성한 박천수 선임연구위원은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 창업정신을 함양하고 창업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체계적 교육이 중요함을 시사하는 대목"이라고 설명했다.창업환경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 의견이 절반이상을 차지했다. 전체 응답자의 58.6%가 청년창업환경이 열악하다고 인식했다. 긍정적 의견은 9.7%에 불과했다.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1.6%였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객관적 창업환경은 나쁘지 않지만 응답자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창업환경은 그렇지 못한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세계은행의 창업환경 순위에서 한국은 189개국 중 34위를 나타냈다. 청년 창업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로는 '실패 후 재기의 어려움'(25.6%)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는 우리나라 창업 대부분이 융자와 가족자금을 기반으로 이뤄져, 실패 시 부채에 시달릴 수 밖에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초기 창업조달의 어려움'을 꼽은 응답자도 전체의 23.3%에 달해 창업활성화의 요건에 금융부분이 속함을 시사했다. '대기업의 불공정거래'(14.1%), '창업정신함양을 위한 체계적 교육의 부재'(11.2%) 등도 함께 지적됐다.이와 함께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가장 집중해야 하는 지원 방향은 '창업 후 운영단계에 대한 지원 강화'(23.8%)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해야 할 창업 인프라로는 '아이디어만으로 창업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을 꼽은 응답자가 전체의 52.5%를 차지했다. 산재해있는 청년 창업지원 정책을 간결화(19.0%)하고 상가권리금 등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16.5%)해야 한다는 답변도 나왔다.박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부족한 재도전 기회보장 관련 정책과 예산규모의 확대가 필요하다"며 "창업의 성공이나 실패를 사회적 자산으로 여길 수 있도록 의식을 전환하고 제도적 준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창업자금을 본인이나 가족이 융자로 해결해야 할 상황에서는 활성화가 어렵다"며 "창업자금 지원 방향을 융자에서 투자로 전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