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원된 황새의 야생복귀는 2014년 4월4일

한국교원대·예산군 15일 ‘한반도 황새야생복귀 협약식’ 맺어…번식지 이름 딴 30쌍 복귀 계획

한국교원대의 충북 청원군 황새인공서식지에서 시험방사 중인 황새들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한국교원대가 충남 예산군과 함께 ‘한반도 황새야생복귀’ 프로그램을 펼친다.이를 위해 교원대와 예산군은 15일 오후 교원문화관 대강당에서 ‘한반도 황새야생복귀 협약식’을 맺었다.교원대는 이 협약식에서 황새 60마리(30쌍)를 예산군에 기탁하고 예산군은 군을 중심축으로 한 한반도에 황새를 야생복귀시키기로 약속했다.황새의 야생복귀 날짜는 2014년 4월4일 오후 2시다. 이날은 충북 음성군에서 마지막 황새 한 쌍이 발견된 뒤 1971년 4월4일 밀렵꾼에 의해 수컷 황새가 총에 맞아 죽은 날이다. 이날 이후 야생에서 텃새 번식 황새는 사라졌다.1930년부터 1971년까지 황새는 북한을 포함해 우리나라 30곳에서 번식하며 살았다. 북한엔 함경북도 김책시, 황해도 연백군을 중심으로 번식했다. 남한엔 충남 예산군, 경기 여주군, 충북 음성군 등지에서 살았다. 이 황새들은 6.25전쟁으로 황새의 둥지인 큰 나무(수령100~200년)들이 쓰러지면서 그 수가 급감하다가 논에 농약살포 등의 서식지파괴로 완전히 사라지게 됐다. 교원대에서 30쌍의 황새를 기탁하는데도 사연이 있다. 한반도에 황새를 다시 복원시킨다는 의미로 이 황새 30쌍의 다리엔 과거 번식지 이름이 붙여진다. 예를 들어 황해남도 연배군의 이름을 따서, 황남연(암컷), 황남배(수컷)로 짓게 된다.

'황새의 춤'이란 브랜드로 팔리고 있는 친환경 유기농쌀

특히 황새가 야생에서 살기 위해선 유기농을 하는 생태 논이 필요하다. 황새들이 살았던 곳이 모두 논이었다. 논에서 물고기를 잡아먹고 한반도에서 수 천년간 텃새로 살아왔다. 교원대는 황새복원성공을 위해 국내 최초로 생태인증제 도입에 힘썼다. 생태인증제는 유기농은 필수, 논에 생물다양성에 풍부도에 따라 차등으로 인증한다. 논에 어도 및 비오톱시설을 갖추고 유기농사를 짓는 경우 ‘그린황새(green stork)’인 가장 낮은 등급을 받는다. 그 다음 단계로는 황새가 노니는 논경지로 ‘실버황새(silver stork)’가 부여된다. 가장 높은 단계로는 ‘골드황새(gold stork)’로 황새의 번식지역이 해당된다. 예산군 광시면 대리와 시목리 150ha의 논이 그린황새 생태인증을 받았다. 그린황새 생태인증을 받은 논에서 생산된 쌀은 ‘황새의 춤’이란 이름으로 팔릴 계획이다.이영철 기자 panpanyz@<ⓒ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이영철 기자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