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弱달러는 미국에도 손해'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서 3차 양적완화(QE3)을 발표한 이후 아시아 국가들은 환율 방어에 비상이 걸렸다. 아시아 각국들은 환율 시장에 공식 또는 비공식적으로 개입해서 자국 통화 강세 흐름을 꺾으려고 하지만 해외에서 유입되는 자금이 늘어나면서 곤란한 상황에 처해있다. 곤란하기로는 미국도 마찬가지라는 지적이 나왔다.QE3 이후 해외 자본이 유입되면서 아시아 국가들은 이 외에도 스테그플레이션의 압력에 노출되어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수출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국가들은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수출이 둔화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다, 급격한 외국 자본 유입으로 인해 자산 가격 등이 상승을 부추겨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했다.이 때문에 아시아 국가들이 재정적으로 이렇지도 저렇지도 못하는 상황에 빠졌다. 경제 성장 둔화를 우려하는 아시아 국가들로서는 금리를 인하해 성장률을 높이기를 원하지만, 외국 자본이 유입되면서 인플레이션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경우에는, 수익을 기대한 외국 자본이 더욱 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태국 등은 금리 인하를 통해 외국 자본 유입을 줄이려 하고 있다. 두 나라는 물가를 희생해서라도 금리인하를 통해 경제 성장률을 높일 뿐 아니라 외국 자본 유입도 줄이려 하고 있다. 반면 싱가포르는 기준금리를 유지함으로써 물가 안정에 집중하고 있다. 아시아 각국은 달러화의 약세로 이처럼 난감한 상황에 직면해 있지만, 미국은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과거 리차드 닉슨 대통령 시절 존 코넬리 당시 재무장관은 존 코넬리는 "달러는 우리 돈이지만 당신들의 문제"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 현재 미국 역시 이와 유사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이라는 것이 WSJ의 지적이다. 단기적으로 볼 때 달러화 환율이 불안정해지는 것은 불확실성을 높여 상품 시장에 거품을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본 투자에 있어서도 왜곡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아시아 국가들이 외환시장에 개입할 경우 외환 시장의 변동성은 더욱 높아진다. 이는 자연 아시아 국가들과 무역거래를 하고 있는 미국 기업들로서도 환율 리스크를 안게 되는 셈이다.더욱이 미국은 그동안 아시아 국가들에 대해 무역관련 규제 완화 등을 주장했지만, 미국이 QE3 등을 통해 자국 화폐 가치를 낮췄다는 비난을 받게 될 경우 아시아 국가들에 대핸 미국의 지도력은 약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나주석 기자 gonggam@<ⓒ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나주석 기자 gonggam@ⓒ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