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공급체계 뜯어고친다

중소형 지역발전소 건설해 분산형 소비체계로[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스마트그리드 키우고 지역별로 소규모 발전소를 짓는다. 전력수요 증가에 대비해 전력공급체계 개편을 추진하는 정부의 밑그림은 이렇게 요약된다. 대형 발전소가 지역마다 전력을 공급하는 기존의 방식을 뜯어 고치고 각 지역마다 중소형 발전소를 건설해 자가 소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향후 20~30년의 시계로 추진될 정책들이다. 정부는 18일 이런 내용을 담은 '중장기 기후변화ㆍ에너지 정책방안'을 공개했다. 이번 달에 발간할 중장기전략보고서 가운데 기후변화ㆍ에너지 부문만 간추린 중간보고서다. 지난달에는 인구부문만 담은 보고서가 발표됐다. 전력공급체계에 대수술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에너지 해외의존도가 높고 에너지다소비국으로 분류돼 향후 전력수급여건이 걱정된다는 우려에서 나왔다. 지난해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에너지 수요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연평균 1.6% 증가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연평균 증가율 0.4%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연평균 증가율 1.4%보다도 높다. 그러나 늘어나는 전력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발전소ㆍ송전망을 확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보고서에서는 이를 두고 현재 채택하고 있는 집중형 전력공급체계의 한계로 분석했다. 집중형 전력공급체계는 소수 대형 발전사가 제한된 지역에 대형 발전소를 건설하고 각 수요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큰 규모의 발전소는 하나 짓는데도 막대한 자금과 시간이 든다. 입지ㆍ환경ㆍ보상 등도 매번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정부는 이런 방식을 고집하는 것은 향후 전력수급을 어렵게 할 수 있다고 보고 전력공급체계를 분산형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분산형은 천연가스 등 중소형 발전소를 수요지 인근에 건설하거나 전력소비자가 신재생에너지 등 소규모 발전시설을 각 지역에 구축해 자가 소비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전력사용을 관리를 돕는 스마트그리드를 전국에 보급해 전력수급안정을 돕겠다는 방안도 담았다. 에너지 저소비형 도시를 만들고 에너지 효율을 감안한 세제개편도 고민하겠다는 내용도 담았다. 폭설, 온도 등을 계산한 기후관련 파생상품을 개발하겠다는 아이디어도 들어가있다. 기획재정부 최광해 장기전략국장은 "현재의 에너지다소비형 산업구조를 점진적으로 바꾸는 방안"이라며 "이 같은 대응전략은 향후 기업들이 전기차 충전인프라, 스마트 가전제품을 개발하는 등 관련 산업 생태계에도 큰 변화를 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혜민 기자 hmeeng@ⓒ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