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섭 관세청장 미얀마서 세일즈외교

한·미얀마 관세청장회의 참석, 전자통관시스템 UNI-PASS 홍보…통관애로 해소도 지원

주영섭(오른쪽) 관세청장이 28일(현지시간) 양곤에서 흐툰 쎄인(Htun Thein) 미얀마 관세청장과 제1차 한·미얀마 관세청장회의를 갖고 합의서에 서명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주영섭 관세청장이 미얀마에서 우리나라 전자통관시스템(UNI-PASS) 판매를 위한 세일즈외교와 현지통관애로 덜어주기에 나섰다. 주 청장은 28일(현지시간) 양곤에서 흐툰 쎄인(Htun Thein) 미얀마 관세청장과 제1차 한·미얀마 관세청장회의를 갖고 공동관심사항을 폭넓게 논의했다.주 청장은 관세행정현대화를 위해 990만 달러 규모의 전자통관시스템구축사업을 벌이는 미얀마에 UNI-PASS 수출외교활동을 펼쳤다.동남아에서 우리와 일본이 전자통관시스템 수출을 위해 경쟁하는 지역으로 이번 회의를 통해 세일즈외교에 적극 나선 것이다. 그는 미얀마 관세행정현대화 관련업무개선을 위한 프로세스 재설계(BPR)/정보전략계획(ISP) 수립지원을 정부개발원조(ODA)의 하나로 제안했다. 또 우리나라 관세행정정보화 경험과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UNI-PASS의 우수성도 알렸다.미얀마 관세청은 관세행정현대화가 경제발전에 필수요소임을 공감하고 우리나라 관세청 지원을 받아 BPR/ISP를 마련키로 합의했다. 한·ASEAN FTA 활용도 높이기와 원활한 이행을 위해 추진하는 원산지검증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도 빨리 체결키로 했다.주 청장은 이에 앞서 미얀마 현지에 나가 있는 우리나라 기업인들을 만나 애로점을 듣고 개선사항을 미얀마 관세청장에게 전했다.그는 특히 “통관애로해결을 통한 교역촉진이 관세당국의 중요한 임무”라며 두 나라 세관 의 협력채널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미얀마 관세청은 현지기업인 초청간담회를 정기적으로 갖기로 합의했다.한편 미얀마는 2007년 6월 한·ASEAN FTA(동남아시아국가연합 자유무역협정) 발효 후 미얀마로의 수출액이 173% 느는 등 우리나라의 동남아 신흥수출시장으로 떠오르고 있고 무역수지흑자폭도 느는 나라다. 한·아세안 FTA에 따른 무역량 증가·원산지검증 수요증대 등으로 관세당국간의 협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왕성상 기자 wss4044@<ⓒ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왕성상 기자 wss4044@ⓒ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