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20년, 중국을 다시 본다](4회)또, 고구려 탐욕

작년말 창바이산 방영동북공정 재추진 의심[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지난해말 중국 관영 CCTV는 '창바이산(長白山)'이라는 다큐멘터리를 방영했다. 백두산의 중국 명칭이기도 한 이 프로그램은 발해를 세운 주체가 중국 동북지역에 살던 소수민족이었으며 발해가 당나라 영토였다는 내용을 담았다.이 프로그램의 제작과정에는 고구려사 왜곡을 주도했던 중국사회과학원 전문가들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간 더 이상 논의하지 않기로 했던 '동북공정(東北工程)'이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오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고구려사 왜곡으로 알려진 동북공정은 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공정(東北邊疆歷史與現狀系列硏究工程)의 줄임말로, 중국 사회과학원 산하 변강사지연구중심이 2002년부터 5년간 시행한 연구사업을 지칭하는 말이다.헤이룽장ㆍ지린ㆍ랴오닝 등 중국 동북 3성 지역의 고대사를 중점적으로 다룬 이 프로젝트가 논란을 일으킨 것은 이곳의 연구결과물이 단순히 학술적 차원을 벗어나 고구려ㆍ발해 유적지의 표지판이나 박물관 안내문, 대학교재 등을 통해 역사적 사실인 것처럼 일반인들에게까지 광범위하게 퍼졌기 때문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2006년 중국 후진타오 주석과 원자바오 총리에게 이 문제를 지적했고 앞서 양국간 구두합의가 있었던 만큼 2007년을 끝으로 프로젝트는 끝났다.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번 다큐멘터리 사례에서 보듯 동북공정을 포함한 중국의 역사왜곡이 끝난 게 아니라고 지적한다. 동북아역사재단 역시 "고조선ㆍ고구려ㆍ발해의 역사를 중국사라고 보는 인식을 넓은 의미에서 동북공정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동북공정은 여전히 진행형"이라고 주장했다.국내 역사학계에서는 이같은 중국의 시도를 과거를 통해 현재 체제에 정체성을 부여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중국 정부의 자의적인 역사관을 두고 현재 편의적ㆍ민족중심적ㆍ영토중심적이라고 비판하는 시각도 있다. 21세기 중국의 영토를 기준으로 중화민족만이 중심이 된 편향적인 연구라는 뜻이다. 특히 민족ㆍ영토 등의 개념이 근대 이후 형성됐다는 점에서 국내 연구자들은 중국의 이같은 접근법은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특히 중국의 자국내 소수민족과 관련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하는 측면이 강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동북아역사재단은 "고조선ㆍ부여ㆍ고구려사를 한국사로 보는 논리가 지속될 경우 몽골이 원(元)사를, 중앙아시아 일부 국가가 서역(西域)사를, 베트남이 진ㆍ한시기 백월과 남월의 역사를 각자 자국역사로 주장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며 "그럴 경우 중국 역사는 분열되고 중국의 민족ㆍ국가정립이 곤란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김현숙 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원은 "역사라는 게 어느 한쪽만을 잘라 볼 수 없으며 학문외적으로만 접근하기 힘든 측면이 있다"며 "한국과 중국 모두 객관적인 역사서술에 주력하고 역사연구를 넘어 사회 전분야에서 화해ㆍ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최대열 기자 dychoi@<ⓒ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최대열 기자 dychoi@ⓒ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