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의 밑거름이 됐던 새마을운동이 개발도상국가에서도 추진된다. 국무총리실은 22일 새마을운동을 바탕으로 개도국의 빈곤 퇴치와 자립을 돕기 위한 개발협력모델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모델은 그동안 각 부처별로 추진된 ODA(공적개발원조)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지난해 10월 출범한 국제개발협력위원회(위원장 김황식 국무총리)에서 마련한 'ODA 선진화 방안'에 따라 추진되는 것이다. 이번에 마련된 새마을운동 ODA는 세 단계로 진행된다. 우선 각 나라에서 새마을운동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마을지도자와 주민대표, 공무원 등 사회지도층을 국내로 초청해 지도자 연수를 실시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이다. 연수에선 우리나라의 새마을운동의 노하우를 전수하고 정책컨설팅도 진행키로 했다.다음 단계에선 각 개도국의 자립성을 높이기 위해 마을단위로 자발적 협의체를 구성키로 했다. 이 협의체를 중심으로 우리 정부의 자금지원을 받아 가축은행과 채소재배, 마을안길 확장, 마을회관 건립 등 사업의 발굴부터 완료까지 각 개도국의 주민 스스로 결정하도록 했다. 정부는 이같은 사업을 평가하고 지원하기 위해 마을현지에 자원봉사단과 전문가를 파견키로 했다.총리실은 "완제품을 만들어 주는 ODA가 아니라 우리는 기자재와 기술, 방법을 제공하고 주민들은 노동력을 제공해 완제품을 만들어 가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이렇게 1,2단계 지원이 성공하면 마을단위에서 지역단위로 새마을운동을 파급할 수 있는 통합형 개발협력을 추진키로 했다. 관계수로나 농지개량 등 농업인프라를 비롯해 농산물의 가공기설과 시범 농장건립, 보건소와 학교, 도서관 건립 등 다양한 사업이 연계돼 추진된다. 이같은 단계별 모델은 개도국의 실정에 맞추기 위해 나라마다 변형돼 추진되며 해당 국가의 전문가 그룹의 자문을 거쳐 시행된다. 총리실은 "새마을운동 모델은 개도국 전체인구의 70% 이상이 농촌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활용영역이 넓다"면서 "자립의지를 통한 빈곤타파를 강조하는 만큼 '수원국의 원조의 덫→공여국의 원조의 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탈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정부는 이번 새마을운동 모델을 동남아시아의 라오스와 아프리카의 르완다에서 시범 추진한 뒤,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지연진 기자 gyj@<ⓒ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지연진 기자 gyj@ⓒ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