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계 연구자들 '상호신뢰도 87% 이상'

[아시아경제 김수진 기자]우리 과학기술계 연구자들은 연구자들 사이에 높은 신뢰 관계를 갖고 있으나 정부와 국회, 언론에 대한 신뢰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원장 김석준)은 ‘과학기술계 사회적 자본의 측정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 온라인 이슈페이퍼를 발간, 과학기술계 종사자 5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과학기술계 연구자들의 상호신뢰도가 87% 이상으로 일반 국민들의 상호신뢰도(30.2%)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연구개발(R&D)과 기술혁신 활동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과학계에도 사회적 자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사회적 자본은 신뢰, 규범, 네트워크 등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무형자산을 가리킨다. 만약 과학기술계 내부에 사회적 자본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다면 R&D나 기술혁신 활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과학기술계에 종사하는 대학교수와 연구자, 정책담당자,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우리 과학기술계의 전반적 신뢰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성과 신뢰도 역시 평균 60.5%를 기록, 연구성과 평가의 공정성이나 연구역량 평가 정당성 부문에서도 신뢰도가 높았다. 그러나 우리 과학계가 공공기간에 지닌 신뢰도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36.2%였고 국회와 언론에 대해서는 신뢰하지 않는다고 대답한 비율이 각각 45%와 56.6%로 집계돼 불신을 표시한 연구자의 비중이 더 높았다. 이는 과학기술 관련 정책에 대한 불만과 정치적 소외감, 그리고 언론보도의 전문성 부족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됐다. 한편 과학기술계 네트워크 활동에 있어서는 90% 가까운 연구자들이 학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2~3개 학회에서 활동하는 연구자의 비중이 가장 많았다. 특히 대학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학회활동을 하고 있고 3개 이상의 학회에 참여중이라고 답한 연구자도 60%에 달했다. 이밖에도 연구자들은 지금보다 더 많은 R&D 투자가 이뤄져야 하며, 민간 연구개발과 대학 기초원천기술개발을 비롯해 거대과학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과학기술계 내부의 갈등구조도 표출됐다. 과학기술계 사회 관련 조사 결과 연구자들은 86%가 연구분야간 갈등과 이해관계 대립이 존재한다고 답했다.보고서를 쓴 글로컬협력센터 송치웅 FTA전략팀 팀장은 "과학기술계와 정부/언론매체사이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고 과학기술계 내부 갈등과 대립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공정한 R&D 예산배분과 평가제도 운영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송 팀장은 "과학기술계 연구자 사이에 존재하는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의 참여확대와 활성화를 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수진 기자 sjkim@<ⓒ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보과학부 김수진 기자 sjkim@ⓒ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