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대출 中企 환차손 폭탄

환율 4년여 만에 두배 가까이 올라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인천 남동공업단지에 위치한 모 제조업체는 원·엔 환율이 100엔당 800원대였던 2006년에 10억엔 규모의 엔화대출을 받았다. 공장 매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금리가 낮은 엔화대출을 받아 자금을 융통한 것인데 엔화 가치가 치솟으면서 직격탄을 맞고 있다. 현재 원·엔 환율이 1400원대로 올라 갚아야 할 돈도 거의 두배로 뛰었기 때문이다.이 업체는 8년 만기에 3년간 거치한 후 5년간 상환하는 방식으로 대출을 받았다. 2008년까지는 이자만 내다가 지난해부터 할부금도 같이 갚고 있는 것.할부금은 1년에 네번씩 분기마다 상환한다. 분기별로 5000만엔의 할부금에 2%대의 이자를 더해 총 7000만엔 가량의 원리금을 내고 있는 것.연초만 해도 1200원대였던 원·엔 환율이 현재 1400원대까지 오르면서 원리금이 8억원대에서 9억원대로 1억원 이상 늘어난 셈이다. 이런 상황에 처한 중소기업은 이 업체뿐만이 아니다. 금융권 관계자는 "예전에는 외화대출에 용도 제한이 없어 남동공단에 입주하려는 중소기업들이 저리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엔화대출을 많이 받았다"며 "원·엔 환율이 오를수록 대출금 상환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26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우리·신한·기업·하나·외환은행 등 6개 은행의 7월말 현재 엔화대출 잔액은 9375억엔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9718억엔보다 다소 줄긴 했지만 여전히 적잖은 규모다.이 중 기업은행의 엔화대출 잔액은 2900억엔으로 전체의 30.9%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기업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기업들은 대부분 중소기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문제의 심각성이 더욱 커진다.엔화대출을 받은 기업들 외에도 일본 부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들의 경영난도 가중되고 있다. 수입 단가 조정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한국개발연구원(KDI) 임경묵 연구위원은 "전반적으로 엔고 현상은 일본과 경쟁하는 수출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라며 "하지만 일본에서 부품을 수입해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단가 조정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박민규 기자 yushi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민규 기자 yushi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